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진실한낙타288
진실한낙타288

영국은 어떻게 10%의 관세로 체결 되었나요?

미국과의 관세협상 대상국들 중에서 가장 낮은 관세율이 10%로 영국은 어떤 조건들로 10%의 가장 낮은 관세율로 체결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미국과의 관세 협정은 아무래도 미국과 친한 나라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관세율을 조정 한 듯 합니다. 사실 미국과 영국은 같은 뿌리를 두고 있는 아버지와 아들의 나라 이다 보니 10%로 가장 이득을 준 것이고 일본과 한국은 15% , 베트남등은 20% , 중국은 30% 로 차별을 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영국이 미국과 유리한 협상이 가능했던 이유는

    교역의 규모가 크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영국은ㅇ 미국에 무역적자를 안기지 않고, 오히려 미국이 흑자를 보고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 였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집중적으로 무역 불균형을 바로 잡아야 할 상대가 아니었기 때문 입니다.

  • 영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10%라는 낮은 관세율로 합의된 배경에는 몇 가지 조건이 작용했습니다. 우선 미국은 영국과의 무역에서 적자가 아니라 흑자를 보고 있어서, 다른 국가들보다 협상 분위기가 훨씬 부드러웠습니다. 또 영국은 미국과 오랜 동맹 관계를 유지해왔고, 브렉시트 이후 미국과의 무역 확대가 절실했던 상황이라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나 보잉 항공기 구매 같은 양보도 했습니다. 자동차는 연간 10만 대까지 10% 관세로 제한했고, 철강·알루미늄은 최혜국 대우 조건으로 일부 면제받았습니다. 결국 서로 필요한 걸 맞바꾼 셈인데, 이런 식의 유연한 접근이 협상에서 꽤 효과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 영국의 경우 가장 큰 요인은 미국과 영국의 교역에서 미국은 이미 수출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초점이 무역 적자 해소이기에 상대적으로 영국은 온건한 분위기에서 협상이 가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