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새터민이란 말 뜻이 궁금합니다

TV에서 한 번씩 나오던데 새터민이라고 여기서 말하는 새터민이란 북한 사람들을 얘기하는 건가요 아니면 뭐 다른 뜻이 있나요 그리고 새터민이란 말은 언제부터 사용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새터민은 북한이탈주민을 다르게 부르는 말입니다.

      새터민이라는 용어가 차별적인 표현이라는 이유로 최근에는 북한이탈주민, 탈북민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고 합니다.

      새터민의 명칭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과거 냉전 시기에는 귀순 용사라는 표현을 쓰다가, 1990년대 이후로는 탈북했다고 해서 탈북자가 일반화되었다. 참여정부 시기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법제화했으나, 여전히 탈북자가 가장 많이 쓰인다.
      또한 많은 탈북자들이 새터민이라는 단어에 혼란과 거부감을 느낀다고 표현하여서 현재는 정부 차원에서도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는 1997년 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다. 해당 법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 지역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흔히 북한이탈주민을 지칭함에 있어서 '탈북자', '탈북민',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등이 혼용되고 있다. 통일부를 기준으로 2005년까지는 관습적으로 '탈북자'로 지칭하다가 탈북자라는 단어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는 이유로 2005년부터 새터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밝은 어감의 단어를 골랐다고 하지만 정작 북한이탈주민들 내에서는 '새터'라는 단어가 오히려 자신들의 정체성을 부인하며 차별적인 표현이라는 이유로 반발이 심했다.
      '새터민'이라는 단어가 조금 관심 있는 일반인은 물론 심지어 북한 관련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남발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런 이력 때문에 어지간하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물론 소수의 북한이탈주민들 중에서 스스로를 새터민이라고 지칭하는 이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들 내부에서는 여론이 워낙 안 좋아 사장된 단어이니 상대가 대놓고 원하는 게 아니라면 굳이 먼저 쓸 필요는 없다.
      결국 2008년부터는 법률 용어인 '북한이탈주민'을 전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북한이탈주민'이 길다보니 줄여서 탈북민이라는 단어가 많이 쓰인다. '자'(者)라는 표현을 공식 명칭에 들어있는 民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는 것이다.

      출처: 나무위키 '북한이탈주민'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 냉전 시기에는 귀순 용사라는

      표현을 쓰다가, 1990년대 이후로는

      탈북했다고 해서 탈북자로

      불리웠고, 참여정부 시기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법제화했으나,

      여전히 탈북자로 많이 쓰입니다.

      정부 차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터민은 북한이탈주민, 탈북자 등을 칭합니다.

      새로운 터전에서 삶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새터민이라는 표현은 참여정부 시기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법제화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한 이탈 주민, 즉 탈북자를 말한다. 통일부는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2005년 초 이 말을 정했다. 한때 귀순주민, 탈북자, 북한 이탈 주민이라는 말로 썼던 것을 새롭게 순우리말로 고친 것이다.

      일국 탈북자 본인들은 용어 채택 과정에서 통일인, 자유인 등 적극적으로 탈북 의지가 반영된 용어를 더 선호했으나 정치적 의미가 약한 새터민이 최종 결정됐다는 후문이 있다.

      당시 일부 탈북 단체들은 '새터민'에 대해 "용어 자체가 생경한데다 북한의 눈치를 본 용어로, 자유를 찾아온 정서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반발했었다. 정부는 관련 법률 용어도 고치고 국어 사전에도 새로 등재할 것이라며 홍보했으나, 결국 이 단어는 일반 시만뿐만 아니라 당사자들에게까지도 호응을 얻지 못했다. 한 때 새터민이라는 표기가 백지화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한편, 새터민의 영문표기도 소리나는 대로 'Saeteomin'으로 쓸 것을 고려중이라 했었다. 그러나 이 역시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UNHCR 등 국제단체와의 협력체제 구축에 용어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터민이란 북한 이탈 주민이란 뜻으로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탈북자라는 단어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는 이유로 2005년부터 새터민이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터민은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주민'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최근에는 새터민이라는 용어사용을 자제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www.nongmin.com/326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