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터프한상괭이91
터프한상괭이91

새터민은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탈북자를 가르키는 용어로 새터민이라고 하잖아요? 어디서 나온 단어인가요? 탈북자라는 단어가 듣는 사람 입장에서 불쾌할까봐 그런 건가요? 다른 의미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이 늘어나면서 ‘탈북자’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97년 1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기존의 ‘귀순’ 개념이 ‘북이탈’로 바뀌었으며 북한을 떠난 후 아직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들을 ‘북이탈주민’으로 규정하였다. 2005년대한민국통일부는 탈북자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취지에서 새로운 명칭을 마련하여 한국 거주 탈북자를 ‘새터민’으로 바꾼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탈북단체들이 ‘새터민’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등 용어개념에 대한 문제제기가 잇따르자 2008년 11월통일부는 가급적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북한이탈주민’이 탈북자의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터민 > 북한을 탈출하여 북한 이외의 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북한 주민.새터민.탈북자를 뜻합니다.

      북한이탈주민이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조 제1호에 제정.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이 늘어나면서 탈북자 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1997년 1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기존의 귀순 개념이 북이탈로 바뀌었으며 북한을 떠난 후 아직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북이탈 주민으로 규정 하였습니다.

      2005년 대한민국 통일부는 탈북자 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취지에서 새로운 명칭을 마련하여 한국 거주 탈북자를 새터민을 바꾼다고 발표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