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눈 깜빡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실제 원인은 뭐죠?

성별
남성
나이대
50

저희는 대략 5초 이내에

계속 눈을 깜빡이면서 살아가는데요.

실제 눈을 깜빡이는 순간에는

눈앞이 가려지면서

세상을 보는 장면이 검게 되었다가 다시 보이고 하는 상황이

연속적으로 발생해야 한다고 상식적으로 생각합니다만

실제 생활을 하면서

눈은 분명 계속 깜빡이면서 살아감에도

우리가 받아들이는 세상에 대한 시각정보가

중간중간 끊어지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의도적으로 눈을 깜빡이지 않는 이상

눈 깜빡임은 그냥 자율신경으로 작동하는데요.

그렇게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눈깜빡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깜빡임에 따른 시각방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우리의 뇌는 눈 깜박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짧은 시각적 차단을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지각적 연속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 깜박임 전후의 시각 정보를 통합하여 연속적인 정보로 인지하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눈 깜빡임은 인지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눈을 깜빡이는 동안 일시적으로 시야가 차단되지만, 우리의 뇌는 이러한 순간적인 변화에 적응하여 시각 정보를 끊김 없이 처리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뇌는 눈 깜빡임으로 인한 시각 정보의 공백을 채우고, 연속적으로 장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율신경계의 조절로 눈 깜빡임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또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입니다. 추가적으로 깜빡임 동안 뇌의 시각 정보 처리 시스템이 활성화되지 않거나 덜 활성화되기 때문에 그 순간적인 변화조차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다양한 요인들이 합쳐져 우리가 눈 깜빡임에 대한 시각 방해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죠.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눈 깜빡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 뇌의 시각 처리 방식 때문이에요. 눈을 깜빡일 때마다 잠깐씩 시야가 가려지지만, 뇌는 이 순간을 빠르게 보정해서 우리는 중간에 끊기는 느낌 없이 연속적인 시각 경험을 하게 돼요. 이는 뇌가 눈 깜빡임에 의한 잠깐의 시각 차단을 빠르게 메꾸고, 관련 없는 정보를 걸러내기 때문이에요. 또한, 자율신경계가 눈을 적절히 깜빡여 눈의 건조를 막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보호작용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시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조절해 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상적인 눈 깜빡임을 거의 인식하지 못한 채, 한결같은 시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뇌가 이를 자동으로 보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눈을 깜빡일 때, 실제로는 눈꺼풀이 내려오고 그 순간 빛이 차단되는게 맞습니다. 다만 뇌는 이 짧은 순간을 인식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시각 정보를 처리하게 되는거죠. 이 짧은 순간의 갭을 자연스럽게 채워서 시각적으로 끊임없이 흐름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쉽게 말해, 눈이 깜빡여서 잠깐 보이지 않는 순간이 있더라도, 뇌는 그 사이에 무엇을 보고 있었는지 예측하거나 연속적인 시각 정보를 이어서 제공하여 우리 눈으로는 끊김 없이 보이게 되는 것이죠

    또한, 눈 깜빡임 후 빠르게 정상적인 시각이 회복되므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이를 거의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