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해가뜰때와 질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득 퇴근길

출근길에 하늘을 보면 하늘이 붉게

보이는 걸 보니 궁금해 지는데 어떠한 이유에서 사람에 눈에 해가 뜨고 지는 현상이 붉게 보이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뜰 때와 질 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 산란"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는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있으므로, 태양 빛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합니다. 이때, 대기 중의 먼지, 수증기, 미세 입자 등이 빛을 산란시키게 됩니다.

    빛은 다양한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은 대기 내에서 더 강하게 산란되어 분산되지만, 파장이 긴 주황색과 붉은색은 상대적으로 산란이 적게 되어 그대로 직진합니다. 따라서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부분 산란되고 분산되어 사라지지만, 파장이 긴 주황색과 붉은색은 그대로 남아서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고도에 따라 통과하는 대기의 양이 달라집니다.



    해질녘과 해뜰녘이 햇빛이 통과하는 대기(공기)의 양이 많은데요. 특히 저녁같은 경우는 하루 일과가 지나고 일어났던 먼지가 아직 대기중에 떠있기 때문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요소가 많습니다.



    그래서 통과하는 대기의 양이 많고 먼지도 많아 빛의 산란이 더 많이 되고(빛의 파장이 짧을 수록 산란이 더욱 잘됩니다) 가장 긴파장대인 붉은 빛만이 남아서 우리눈에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떠오를 때나 질 때 주위가 붉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 중의 빛 산란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 태양의 광선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 분자와 미립자와 상호 작용합니다.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울 때, 그 빛은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고, 블루라이트와 노란 빛은 대기 내의 입자와 분자에 의해 산란됩니다. 이러한 산란은 주로 짧은 파장의 빛을 분산시키는데, 이것이 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지 설명합니다.


    반면,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는 태양의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데 길이가 더 길어집니다. 이로 인해 파장이 긴 레드 및 오렌지 빛이 더 많이 산란되지 않고 직선으로 대기를 통과하여 우리 눈에 도달하므로 주위가 붉게 보입니다. 이것이 일출과 일몰 시간에 붉은 빛이 강조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뜰 때와 질 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 중의 분자들이 태양빛의 파장을 걸러내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모든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지만, 파장이 긴 빛은 파장이 짧은 빛보다 더 쉽게 대기 중의 분자에 의해 산란됩니다. 파장이 긴 빛은 붉은색과 주황색 빛입니다. 따라서, 해가 뜰 때와 질 때에는 파장이 짧은 빛이 대부분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고, 파장이 긴 빛만이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여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을은 빛의 산란에 의해 생깁니다.

    해가 질 때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 태양빛이 통과해야 하는 대기층이 낮보다 두꺼워 파장이 짧아지고, 산란하는 각도가 푸른색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게됩니다. 파장이 길고 산란하는 각도가 큰 붉은색빛만 대기층을 통과해 붉은 노을을 만들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뜰 때가 되면 검푸르던 하늘은 붉은색이 점점

    진해집니다. 그리고 마침내 해가 바다 위로 모습을 드러내게 되지요. 수면 위로 올라온 해가 높이 솟아오르면 주변 하늘은 붉은색이 옅어지고 푸른색이 진해집니다. 해가 뜰 때뿐만 아니라 해가 질 때도 하늘은 노을로 붉게 물듭니다.

    빛은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물질에 의해 산란되거나 굴절되지 않으면 색깔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인데 프리즘이나 무지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산란과 굴절에 의해 빨주노초파남보의 다양한 색깔을 나타냅니다.

    햇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도 산란이 일어납니다. 햇빛은 대기층을 구성하고 있는 공기와 부딪혀 산란되면서 다양한 색깔을 나타냅니다. 빛이 산란되는 정도와 나타내는 색깔은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데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일어납니다.

    햇빛이 가진 빨주노초파남보의 무지개 색깔 중 빨간색 파장이 가장 길고 보라색 파장이 가장 짧습니다. 따라서 햇빛이 지구 대기층을 통과할 때 보라색과 파란색 계열이 먼저 산란되고 빨간색과 노란색 계열은 산란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층의 긴 거리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해가 지평선 근처에 있는 일출과 일몰 때는 햇빛이 통과하는 대기층이 길기 때문에 쉽게 산란되는 파란색 계열은 우리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대기층을 통과하는 동안 산란돼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