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5.30

노을이 질때 하늘이 붉어지는 이유가 있나요?

해가 중천에 떴을때 하늘은 파란색인데요. 어째서 해가 질때인 노을을 보고 있으면 하늘빛이 붉어지는 것인가요? 눈이 착시를 일으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의 착시는 아니며, 빛의 산란 때문이니다.

    햇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는 공기 중에 있는 수많은 입자들로 인해 산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고 태양의 고도도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져 통과하는 대기층이 길어집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고 산란하는 각도가 작은 파란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파장이 길고 산란하는 각도가 큰 붉은 빛만이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기때문에 햇빛의 경로가 길어집니다.

    딻은 파장에 경우는 산란이 발생하면서 흩어져 버립니다. 이떄 긴 파장만 가진 붉은 색만이 통과하기 떄문에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