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대한민국이 학업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7세고시에 열광하며, 아이들에게 유학원 학원,모든것을 강요하고 숨막히듯 흘러가는 아이들의 시간은 왜 이렇게 된건가요? 어떠한 상황이 이런 분위기를 초래하고, 이끌어 가고 있는 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리나라가 사교육의 열풍이 심한 이유는

    엄마들의 치마바람 때문 입니다.

    즉, 엄마들의 욕심의 과잉되어 아이들의 힘들게 하는 것입니다.

    엄마들이 인지해야 할 점은 사교육은 엄마들의 욕심으로 진행을 해서도 안되고, 학습의 선택과 결정 역시도 엄마가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 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라는 것입니다.

    더나아가 아이가 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어야 하고, 아이가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있어야 하며 아이가 직접 스스로 학원을 보내달라고 할 때 학원을 보내는 것이 학습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대한민국이 학업에 집착하는 이유는 공부로 성공하는 것이 가장 성공적으로 나갈수있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한국은 작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집중된 나라로 경제적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과거 산업와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사람들은 성공을 위한 중요한 통로로 교육을 여겼습니다 특히, 대학진학은 개인과 가족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요소로 여겨지며, 이는 결국 사회적 경쟁을 더욱 부추겼습니다 부모들은 자녀가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욕구가 강해지며 교육이 곧 경쟁의 수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에따라 아이들의 학업 성취가 곧 미래를 위한 투자로 간주되었고 이는 학교나 학원, 심지어 유학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최고의 교육을 추구하는 문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생 학부모로써 주위에 아이 친구들을 보니깐,

    대부분 학부모들이 맞벌이 삶을 살고 있고 아이를 집에 혼자 둘 수 없기 때문에 학원을 돌리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더불어 주위에서 이 정도를 하고 있으니 맞춰서 하지 않으면 안될 거 같은 조급함도 생기는 거 같구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자녀가 좋은환경과 좋은 학교를 졸업하여 높은 급여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부모들은 유학원, 학원 등에 집착하여 아이들을 뺑뺑이 돌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은 아이가 원해서 보다는 부모의 욕심과 교육가치관이 만들어 낸 사회적 분위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옆집아이가 다닌다고 하면 우리아이가 뒤쳐진다 생각하여 학원을 늘리는 부모들이 많기 때문에 아이의 정신적, 심리적으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얼마 전 7세 고시를 다룬 프로그램이 방송되면서 사교육의 문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죠. 대부분 의대나 로스쿨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과거보다는 학력의 중요성이 비교적 낮아진 경향이 있고, 블라인드 채용 등이 도입되면서 해소가 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학력이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 또한 메디컬 열풍으로 인하여 입시에서 성공해야 이러한 메디컬 대학에 진학하고 높은 부와 명예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학업에 집착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사회적인 전반의 분위기라서 입시 등을 대대적으로 개혁하지 않는 이상 단기간에 바뀌기 어렵고, 이러한 입시를 개혁하는 것은 워낙 반발이 심하고 또 현실적으로 사회적 합의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단번에 바뀌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