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mosome DNA와 plasmid DNA
plasmid DNA에 대해 발표를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플라스미드 추출에 대한 글에서 ‘
플라스미드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열(heating)이나 NaOH 처리로 이중 나선이 외가닥으로 풀
어지더라도(denaturation) 고리 두 개가 서로 물려있는 모양으로 묶
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거나 pH가 내려가게 되면
다시 제 모습대로 복원된다. 이점이 chromosome DNA와 구분되어
플라스미드의 분리가 가능하다.’라는 내용을 읽었는데 이 내용이 잘 이해가 안돼서요…
염기성으로 변성하고 이후 중화하는 과정에서 chromosome이 변성된다는 사실은 알겠으나, 고리 모양의 플라스미드가 풀어진다는 표현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제한효소를 통해서만 절단되는 것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외가닥으로 풀어진다는 것이 제한효소 처리처럼 플라스미드의 고리가 끊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염기들의 결합이 풀린다는 뜻 입니다.
DNA는 A-T / C-G <염기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이중나선을 이루는데요.
플라스미드도 DNA이기에 같은 방식으로 염기들이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있습니다.
다만 chromosome DNA와 다르게 plasmid DNA는 처음과 끝부분이 연결되어 고리형을 이룹니다.
NaOH를 처리하면 pH가 높아지고 강염기성 때문에 choromosome DNA와 plasmid DNA 둘다 위에서 말한 염기간 상보적 결합이 끊어져 변성됩니다.
다만 plasmid DNA는 중화시켜서 pH가 다시 낮아졌을때 chromosome DNA보다 염기쌍이 다시 상보결합하여 이중나선을 회복하기가 더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미드는 원형 또는 고리 모양의 이중 DNA 분자로, 일반적으로 박테리아에서 발견됩니다. 이러한 플라스미드는 염기서열을 운반하고, 세포 내에서 복제되며, 특정 유전자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플라스미드의 특성과 분리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플라스미드의 구조: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고리 모양을 가지며, 이중 나선 DNA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중 나선은 염기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염기는 아데닌 (A), 티민 (T), 구아닌 (G), 시토신 © 중 하나입니다.
고리 모양의 플라스미드와 열처리:
플라스미드는 고리 모양이기 때문에 열 또는 화학 처리로 인해 이중 나선이 풀어질 수 있습니다.
가열 (heating)이나 NaOH 처리는 플라스미드의 이중 나선을 외가닥으로 풀어지게 합니다. 이는 염기쌍 간의 수소 결합이 끊어지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플라스미드의 고리 두 개는 여전히 서로 물려있는 상태입니다.
플라스미드의 복원:
플라스미드는 열처리나 화학 처리 후에도 여전히 고리 모양을 유지합니다.
온도가 낮아지거나 pH가 내려가면 플라스미드는 다시 제 모습대로 복원됩니다. 이는 염기쌍 간의 수소 결합이 재형성되는 과정입니다.
제한효소와 플라스미드의 분리:
플라스미드는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될 수 있습니다. 제한효소는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고 절단하는 효소입니다.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를 특정 위치에서 절단하면, 고리 모양의 플라스미드가 두 개의 조각으로 분리됩니다.
요약하자면, 플라스미드는 열처리나 화학 처리로 인해 이중 나선이 풀어지지만 여전히 고리 모양을 유지합니다. 제한효소를 통해 플라스미드를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플라스미드를 유전자 조작 연구 및 DNA 클로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플라스미드(plasmid)는 세균의 세포 내에 염색체(chromosome) DNA와는 별도로 존재하며 독자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환형 모양의 이중가닥 DNA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plasmid DNA를 분리하기 위해서 alkaline lysis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NaOH는 용액을 높은 pH의 alkaline 상태로 만들어주어 plasimd와 chromosome DNA를 모두 변성시킬 수 있습니다. 이후 중화 용액을 이용하여 다시 pH를 중성으로 낮추어 줄 경우 plasmid와 chromosome은 둘 다 renaturation 되려고 하는데, plasmid DNA는 환형 구조이고 size가 작기 때문에 원래 상태대로 복원이 되지만 chromosome DNA의 경우 random association에 의해 SDS와 함께 침전이 됩니다. 따라서 plasmid DNA를 분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제한효소의 경우 DNA 상의 특정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절단하는 것으로 NaOH로 인한 변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플라스미드는 고리형 DNA로, 가열하거나 NaOH로 처리하면 이중 나선 구조가 풀어져서 외가닥 상태가 됩니다. 그러나 고리형 구조 때문에 두 개의 가닥이 서로 물려있는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온도를 낮추거나 pH를 중화시키면, 풀어졌던 가닥이 다시 이중 나선으로 복원됩니다. 이는 플라스미드의 특유한 구조 때문으로, 플라스미드는 이러한 과정에서도 원래 형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반면에 염색체 DNA는 선형 구조로 되어 있어 같은 처리 과정에서 변성된 후 복원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염색체 DNA와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제한효소는 플라스미드 DNA를 특정 지점에서 자를 때 사용하는 도구로, 변성과는 다른 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