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부탁드려요
빅스텝은 기준금리를 한번에 0.5%인상하는 것을 말한다고 하는데요 현재 빅스텝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별로 없겠지요 혹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나요
빅스텝이라는 것은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대로 0.5%의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말하는데 0.5%의 기준금리 인상은 빠른 금리인상을 말하는 것이다 보니 인플레이션율 상황이 빠르게 상승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빅스텝을 적용하게 되요
질문하신 기준 금리 인상에서 빅스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준 금리의 변동폭은 0.25%입니다.
그런데 종종 긴급한 상황이 찾아오면 그런 관행을 뛰어 넘어서 0.50%를 올리기도 하니 이를 빅스텝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0.50% 현재 기준 금리를 올릴 것 같지는 않습니다.
파월 위원장도 기준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
빅스텝, 즉 기준 금리는 한번에 0.5% 인상하는 조치는 통상 인플레이션 압력이 매우 높거나 경제가 과열될 때 사용됩니다. 이런 결정은 중앙은행이 경제 성장을 억제하고 물가가 오르는 걸 조절하기 위해 취하는 정책입니다.
현재처럼 금리 인상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빅스텝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오르거나 경제 실적이 목표를 크게 벗어날 때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빅스텝은 특정 경제 상황에서 긴급하게 고려될 수 있는 통화 정책입니다.
빅스탭은 말씀하신 대로 0.5% 금리 인상을 말합니다. 작년에 미국의 물가가 엄청나게 높게 올라갈 때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급격히 올리면서 처음 나타난 말입니다.
지금 현재로서는 미국에서 빅스 텍으로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연준의 기준이 예상을 해보면 9월에 한 번 12월에 한 번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빅스텝은 금리가 아주 낮은 시점에서 미래 물가상승으로 인한 'i의 공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하게 되며, 지금 시점에서는 한국이나 미국은 이미 금리가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빅스텝을 중앙은행이 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빅스텝은 인플레이션이 심각하여 한번에 시중 통화량을 많이 줄일 필요가 있을때 실시하게 됩니다. 기준금리를 올림으로써 통화량을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빅스텝은 0.5프로 인상하는것만 말하는건 아니고 반대로 0.5프로 인하해도 빅스텝이라고 합니다 현재 0.5프로 인하할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죠 올해 인상가능성은 거의 없고 연내 2회 인하 가능성이 절반정도 인데요 이걸 한번에 0.5프로 빅스텝으로 인하할 가능성은 없겠지만 그럼 위험자산에는 호재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를 갑자기 크게 올려야 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가 급상승(초인플레이션)
전쟁/자연재해 기타 상황으로 인하여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물건가격들이 올라 물가가 폭등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시중의 돈을 회수하여 돈의 가치가 오르므로 물가가 안정됩니다.
투기
사람들이 어떤 상품(부동산, 코인, 주식 등등)에 너무 많이 투기를 하면, 나중에 거품이 터졌을 때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파산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투기에 쓰일 돈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올립니다.
경제가 너무 좋음
금리 인하는 경제가 박살날 때를 대비하여 아껴두어야 할 카드인 동시에 비축해 둬야할 카드 입니다.
즉, 경제가 좋을 때는 경제가 박살날 때를 대비하여 아껴두는 동시에 비축을 해둬야 겠죠.
금리를 올리면 그만큼 나중에 금리를 많이 내릴 수 있으니. 미리 금리를 올려두는 것 입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빅스텝이 발생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빅스텝으로 금리가 인상되는 순간 세계 경제는 엄청난 자산시장의 하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사실 빅스텝은 정말 큰 것입니다.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지금 가계부채가 1000조라고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여기에 0.5%는 5조입니다. 가계 전체이긴 하지만 가계에서 갑자기 5조를 더 부담해야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니 보통 아기 걸음마 처럼 살살 가는게 맞아서 0.25씩 베이비스텝으로 가는 것입니다.
2022년에 미국이 생각크게 안한다 했다가 갑자기 물가잡아야 한다고 빅스텝으로 금리를 막 올렸습니다. 중앙은행이 예상치 못한 물가 상승 또는 하락이 있을때 빅스텝을 단행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급격한 인플레이션 상승이나 금융 불안 등의 상황에서는 빅스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은행은 급격한 조치를 통해 경제를 안정화시키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