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캐릭터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면에 대해

안녕하세요.. 제가요.. 지금 캐릭터 디자이너를 조사하고 있는데 사회적인면과 개인적인면은 뭐가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윤지혜 전문가
    윤지혜 전문가
    아르떼디자인예술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캐릭터 디자이너라는 직업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업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 자격 요건 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캐릭터 디자인이란 제품 또는 기업의 성격과 가치관을 반영하면서도 대중에게 호감을 줄 수 있도록 캐릭터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일을 말합니다. 이 때 캐릭터의 외모 뿐만 아니라 행동, 대사, 스토리 등을 함께 구상해야 하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캐릭터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미술대학이나 전문대학에서 디자인, 애니메이션, 만화 등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시각디자인기사, 웹디자인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등의 자격증 취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업무로는 시장조사를 통한 트렌드 분석 후 대상 연령층에 맞는 캐릭터를 개발하고 스케치,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캐릭터를 구체화하고 상품화합니다. 이때 캐릭터의 외양뿐 아니라 움직임, 표정 등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그래픽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이후에는 캐릭터의 홍보를 위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도 참여하게 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카카오프렌즈, 라인프렌즈 등 대표적인 캐릭터 브랜드들이 있으며 게임, 웹툰, 영화 등에서도 캐릭터 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앞으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더욱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케릭터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면과 사회적인 면 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사적인것과 공적인 것으로 구분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면은 경제활동을 위하여 자신의 작품을, 자신의 케릭터를 사적으로 만들어 케릭터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거나 기업에 판매를 하여 기업의 홍보활동에 사용하는 것이 개인적인 면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적인 면이라 하면 그러한 케릭터를 사적이 아닌 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공공사업에 케릭터를 무상으로 제공한다던지 국가에서 시행하는 포스터나 홍보물에 무상으로 공유를 할 수 있겠습니다. 아니면 케릭터 디자이너가 재능기부의 형식으로 지역의 마스코트 라던지 국가기관별 ci 나 마스코트를 무상으로 그려주면 그것도 사회적이고 공공적인 면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