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스미스가 주장한 분업의 장점
안녕하세요.
아담 스미스(A.smith)가 주장한 분업의 장점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그리고 이런 주장을 하게 된 시대적 배경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동 분업의 양면성과 독점 및 집중의 폐단에 대한 통찰입니다.
공업 생산량을 늘리는 게 국부의 원천이라면, 어떻게 하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까? 스미스는 같은 노동력을 투입하고서도 더 많이 생산하는 것, 즉 생산성에 주목했다. 그는 옷핀 만드는 예를 들었다. 한 사람의 노동자가 제조 공정 전체를 맡으면 하루에 핀 스무 개 정도를 겨우 만들 수 있지만, 10명의 노동자들이 제조 공정을 18단계로 나누어 작업하면 하루 4만8천 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스미스는 분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분업이 진전되면서 노동으로 생활하는 대부분의 사람들, 즉 민중 대다수의 고용은 한두 가지의 단순 작업으로 한정된다. 작업의 결과라고 해봐야 거의 꼭 같은 것이나 다름없는 한두 가지 단순 작업을 하는 데 생애를 보내야 하는 사람들이 다수가 되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자신의 이해력을 마음껏 발휘하지도, 독창성을 시험해볼 수도 없다. 결국 이해력과 독창성을 상실하고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우둔하고 무지한 상태에 이르고 만다.”
스미스는 모든 형태의 사적인 이익 추구를 바람직하다고 보지는 않았다. 그는 독점적인 이익과 경제적 집중에 반대했다. 경제적 집중은 자유 시장의 본질적인 능력을 왜곡시킨다. 그 능력이란 토지, 노동, 자본 등에 공정하고 합당한 대가를 제공하는 가격을 형성시키는 능력이다. 승자독식의 독점적인 이익도 마찬가지 결과로 이어지면서 시장을 왜곡시키고 사회와 국가 전체의 이익을 해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애덤 스미스 [Adam Smith] - 정치경제학과 경제학 분야를 개척한 스코틀랜드 철학자 (인물세계사, 표정훈)
안녕하세요. 이기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애덤 스미스는 분업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를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째, 제품의 생산 과정이 단순해져 노동자의 숙련도가 향상되고, 둘째, 이동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수행이 빨라지며, 셋째, 작업이 단순해져 기계가 발명되거나 개량되는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미스의 경제 이론의 최대 공적은 자본주의 사회를 상품 생산의 구조로서 다룬 점에 있으며, 자유 경쟁에 의한 자본의 축적과 분업(分業)의 발전이 생산력을 상승시켜 모든 사람의 복지를 증대시킨다는 것이 스미스의 주된 주장이었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