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전기차가 화재가 나면 정말 전소하기 어려운가요?

전기차가 화재가 나면 정말 전소하기 어려운가요? 전소하기 어렵고 화재가 일반자동차보다 잘나는거라면 전기자동차는 너무 위험한거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차 화재 시 전소될 가능성은 특정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화재를 진압하기 까다로운 측면이 있습니다. 일반 자동차의 화재와 전기차 화재를 비교했을 때, 발생 원인이나 진행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전기차는 안전 기준과 기술 발전을 통해 화재 예방과 안전성 향상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화재 위험은 있지만 각 제조사가 안전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어 위험성을 최소화하려 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선택 시에는 안전성 평가와 평판 등 여러 정보를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우려는 주로 배터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화재 시 진압이 어려운 측면이 있긴 하지만, 전기차 제조사는 이를 대비해 다양한 안전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진압이 까다롭다는 점에서 전소되기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화재가 더 잘 발생한다는 데이터는 없습니다. 모든 차량에는 일정 정도의 화재 위험이 존재하며, 전기차 역시 점차 안전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인 진보가 계속되고 있으니, 지나친 염려보다는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전소란 완전히 타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화재를 완전히 진압하다는 의미로 작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이슈로 인하여 내연기관차에 비해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맞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성이 있다면, 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이 발전해 나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전기차가 화재가 나면 일반자동찿보다 연소시간이 길어질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기차 內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내부에서 열폭주 현상이 발생되고 이현상은 화재시간을 오래도록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화재는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보다 진압 하기가 더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전기차의 배터리 특성 때문인데,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 진화가 어렵습니다.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계속되어 일반 소화기로는 불을 끄기 어렵고 특수한 소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차 화재는 진압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완전한 진화를 위해서는 대량의 물을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분리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는 화재가 나면 완전히 탈때까지 끄는것이 어렵습니다. 다만 향후 나오는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는 화재 발생을 억제해주는 방식으로 안정성이 더욱 확보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