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섬의 인구가 근현대 들어서 폭증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오늘날 자바섬을 위시한 인도네시아 인구가 수억이지만
중근세까지만 하더라도 그리 인구가 많은 지역이 아니었다고 하던데
이 지역의 인구가 이리 폭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섬의 인구는 2021년 말 기준으로 약 1억5600만 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섬이고, 호주 인구(2천400만 명)의 6배에 이릅니다. 인구밀도는 km2당 1,050 명에 이르는데, 남아시아의 나라 벵골 지역과 함께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입니다.
1815년, 자바섬에는 5백만 인구가 살고 있었습니다. 18세기 후반, 자바섬 북중부 연안을 따라 인구 폭발이 시작, 19세기에는 자바섬 전체에 인구가 급속히 증가했다. 거대한 인구 성장 요인으로는, 자바 내전에 대한 종결, 쌀농사 면적 증가, 쌀로는 충당 못할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카사바와 옥수수 같은 식용작물 도입 등 네덜란드 식민 통치의 영향이 있었습니다. 일부는 징세 부담과 함께, 세금 납부와 물품 구입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바람으로 아이를 더 많이 낳는 방식을 통해 부부들이 대응한 강제 경작 제도 하에서의 고용 증대를 인구 성장 요인으로 보았습니다. 1820년 발병한 콜레라로 자바섬에서만 약 10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전에는 버팔로와 수레만 있었던 곳에 트럭과 철도가 도입되고, 전신체계가 도입되고, 식민정부 하에서 분배 체계가 더욱 조절됨으로 인해, 자바에는 기근이 사라지고 그 결과 인구 성장이 초래된 것입니다. 1840년대부터 1940년대 일본군 점령 시기까지 자바에는 큰 기근이 없었다고 합니다.
1961년 6천3백만
1980년 9천1백만
1990년 1억7백만
2015년 1억4천5백만이었다고 ㅎ바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버팔로와 수레만 있던 곳에 트럭과 철도가 도입, 전신체계가 도입되고 식민정부하에서 분배 체계가 더욱 조절됨으로 인해 자바에는 기근이 사라지고 그 결과 인구 성장이 초래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바섬은 사람이 살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데
자바섬의 많은 인구는 근현대에들어 폭증한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지속돼오던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산 분출이 최근 잦아지면서 화산 자체는 위험 하지만 위험하지만 여기서 나온 화산재가 땅을 비옥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화산재에 들어있는 각종 미네랄이 비료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요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이 작은 섬에 살게 된 이유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