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12.28

전기-선택차단방식과 캐스케이드차단방식?

전기 계전기 동작에서 선태차단방식과 캐스케이드차단방식이 있다는 설명을 들었는데 이 두방식은 어떻게 다른지 실례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선택 차단 방식은 전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부분의 전류만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류가 과부하되어도 전기계전기가 작동하도록 보장하며, 전선이나 전기기기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선택 차단 방식은 전기계전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반면, 캐스케이드 차단 방식은과전류가 발생한 경우, 차단기가 차례로 작동하면서 과전류를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선택 차단 방식보다 더욱 정교한 방식으로, 과전류 보호 능력이 높습니다. 그러나 캐스케이드 차단 방식은 선택 차단 방식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들며, 전기계전기의 구성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캐스케이드 차단 방식은 전기계전기에서 보다 정교한 과전류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선태차단방식

    - 선태차단방식은 전기 회로에서 과전류가 발생할 때 해당 부분의 보호 장치만 동작시키는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전기 회로에 여러 개의 계전기가 있을 때,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계전기만 동작하여 문제가 있는 부분을 차단합니다.

    - 다른 계전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회로의 일부만 차단되므로 시스템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선태차단방식은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지 않고 문제가 있는 부분만 차단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2. 캐스케이드차단방식

    - 캐스케이드차단방식은 과전류가 발생하면 전체 회로를 한 번에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전기 회로에 여러 개의 계전기가 있을 때,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계전기뿐만 아니라 전체 회로의 계전기가 동작하여 전체 회로를 차단합니다.

    - 모든 계전기가 동작하므로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고,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캐스케이드차단방식은 보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전체 시스템을 차단하여 모든 잠재적인 위험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