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ㅍㅅㅍ
ㅍㅅㅍ

지구과학1 건열 퇴적구조에 대한 질문

사진의 빨간색 글씨에 대한 질문입니다 ..

건열이 채워져잇다 = 밀도가 크다 = 속성작용에 의해 공극률이 낮아졌고 밀도가 커졌다 는 말 아닌가요?? 근데 왜 다른 퇴적과 달리 윗부분이 채워져있어서 밀도가 크고 공극률이 낮은건가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건열이란 건조한 환경에서 퇴적물이 수축하면서 형성되는 퇴적구조이며 진흙이 마르면서 균열이 생기고 그 이후 새로운 퇴적물이 쌓이는 과정에서 형성되지요~ 여기서 건열이 채워져있다는 것은 건조 후에 생긴 균열에 다른 퇴적물이 메워진것을 의미하지요 건열이 형성된 후에 균열 사이로 새로운 퇴적물이 채워지게 되면 그 퇴적물은 기존의 퇴적물보다 더 촘촘하게 쌓이게 되는데 이는 속성작용(건열 내부로 들어간 새로운 퇴적물이 속성작용에 의해 압축되어 공극률이 낮아지고 밀도를 커지게 함)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것입니다. 건열의 윗부분에 채워진 퇴적물은 균열이 생긴 후에 새로운 퇴적물이 쌓이게 된것이므로 이미 다져진 하부 퇴적층과 비교했을때 더 압축된 상태라고 할수 있죠 그렇기에 밀도가 더 커지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