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블록이 생성되도 체인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나요?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의 기록이 장부에 저장되고 이것이 어느정도 쌓이면 하나의 블록이 완성되어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블록 상에 51%의 공격이나 해킹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잘못된 거래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를 체인으로 연결시키면 문제가 생길 것 같은데, 이를 막기 위해 체인 연결을 시키지 않을 수 있을까요? 만약 이게 가능하다면 이와 같은 사례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내용은 최근 바이낸스가 진행하려던 '리오그'와 관련이 있습니다. 바이낸스가 해킹당한 비트코인의 거래내역을 무산시키고자 리오그를 감행하려 했었습니다. 하지만 리오그는 해쉬파워를 빌려서 바이낸스가 준비해 둔 비트코인 블록을 집어 넣어 체인으로 연결시켜 해커가 탈취한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내역이 담긴 블록의 체인을 무산시키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 신뢰성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결국 리오그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죠.
참고로 리오그란 최근에 생성된 몇개의 연속된 블록들이 버려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초록색 블록이 연속되어다가 끝에 빨간색 블록과 초록색 블록으로 나뉘어 집니다. 빨간색 블록은 2개까지 생기다가 초록색 블록이 하나 더 생기면서 더 많은 작업증명이 발생되고 초록색 블록의 진행방향이 정상적으로 판단되어 최근 2개가 생성된 빨간색 블록들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것이 리오그 현상입니다. 빨간색 블록이 컨펌을 몇개 받았다고 하더라도 삭제가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