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20

진통제, 정확히 어떤 효과의 약인가요?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시중 약국에 판매되고 있는 여러 진통제들은

말 그대로 복용하면 체내외 통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이 약효가 몸 어느 곳에 작용하는건가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일반적인 진통제로는 해열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과 해열진통소염제(NSAIDS)가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중추신경계의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NSAIDS는 COX-2를 억제하여 진통, 해열, 소염 작용을 나타냅니다.

    NSAIDS는 성분의 구조에 차이가 있기에 사람마다 효과가 조금 다를 수 있고

    특정 부위 통증에 효과가 좋은 성분이 있지만 전반적인 통증을 잡는 것은 동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진통제는 보통 염증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나게 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면 염증억제/통증완화에 효과가 있습니다.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이부프로펜/나프록센 등의 진통제는 이러한 기전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진통제의 원리는 통증을 느끼게 하는 뇌를 통증을 안느끼게 해주는 원리 입니다.

    몸의 모든 통증을 진정시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통증유발물질의 합성을 억제하는 약으로 통증이 있는 부위에 진통효과가 나타납니다.

    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등 비슷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진통제의 작용기전은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신체가 손상을 입었거나 감염이 되었을 경우, 그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염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이 증가합니다. 염증 반응을 일으켜 외부 물질을 제거하고 통증을 일으켜 상처 부위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염증반응이 과하게 나타나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경우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입니다. 진통제를 복용하면 체내에 흡수되어 혈액을 타고 전신순환하다가 염증 유발물질이 몰려 있는 곳에 가서 작용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통증이라는 것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반응입니다. 통증에 관여하는 신경 경로에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substance p 등의 물질이 관여합니다. 또한 이러한 물질이 관여하면서 이차적으로 조직에서 prostaglandin이 분비되어 통증을 자극하는데, 진통제의 대부분은 이러한 경로를 차단하여 통증 자체를 느끼지 못하게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먹는 약은 전신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두통에도 쓰고 근육통에도 쓰고 생리통에도 쓰고 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전은 cox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통증, 염증 유발 물질을 억제하는 기전입니다. 전신에 cox가 퍼져있으니 어디든 통증이 있다면 복용을 1차적으로 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