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SATUDT
SATUDT

본주가 우선주보다 가격이 평균적으로 높은데요 왜 그런건가요

물론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우리나라 대표주식 삼성전자 같은 경우에는 우선주보다

본주가 보통 20프로 가격이 높은것 같더라구요 그렇다고 배당금도 많이 주지는

않는데요 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의결권 유무입니다.

    보통주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회사의 중요한 경영 사안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즉, 회사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우선주는 의견권이 없습니다.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대신, 배당이나 잔여재산 분배에서 보통주보다 우선적인 권리를 갖습니다. 또한 보통주는 일반적으로 발행 주식 수가 우선주보다 훨씬 많고, 시장에서 주된 거래 종목에서 인식됩니다. 따라서 거래량이 풍부하고 유동성이 좋습니다.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발행 주식 수가 적고, 거래량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가 소수의 거래에도 크게 변동하거나, 매수/매도 호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등 유동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습니다.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가격이 높은 주된 이유는 의결권이라는 프리미엄과 높은 시장 유동성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의 경우는 배당성향이 있을 뿐 본질은 보통주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분들은 배당성향도 낮은데 할 수 있겠지만 수십억, 수백억씩 투자하는 경우

    얘기가 달라집니다.

    그들에게 100원만 떨어져도 어마어마 하게 떨어지며 급락을 하면 그에 대해 회사 경영에 발언과 참여할 권리가 중요해지죠.

    한마디로 채찍을 가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인데 이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우선주가 배당률이 더 높습니다.

    배당금액에 같더라도 가격이 낮으니 배당률은 더 높습니다.

    삼성전자 현재 배당률이 1.71%

    삼성전자우 현재 배당률이 2.16%

    입니다.

    같은 자금으로 우선주를 더 많이 살 수 있으니 배당이 더 많은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본주가 우선주보다 가격이 높은 이유는 본주의 의결권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권리에서 제한되고 주식수가 적으므로 유동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와 달리 의결권이 없어 주주총회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없습니다.

    또한 유동성 측면에서도 보통주가 더 활발히 거래되는데 거래량이 많을수록 거래가 쉽기 때문에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습니다. 즉 일종의 주식과 채권의 중간단계인 주식입니다.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고 이로 인해서 이사를 임명하거나 보수 그리고 배당등 회사 경영 전반적으로 간섭하고 지배를 할수있는 의결권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선주는 이런 의결권이 없고 대신 보통주보다 우선하는 권리 즉 잔여재산에 대한 청구권이나 배당을 먼저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특히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 할인되어서 적용되는 구조라고 이해하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천편일률적으로 말씀을 드리기는 어려울 것같습니다.

    다만, 보통주에는 의결권이 있으나 우선주에는 의결권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프리미엄을 부여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선주가 배당을 상대적으로 더 주지만 해당 프리미엄이 의결권에 대한 프리미엄보다 크지 않다고 시장에서 평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본주가 우선주보다 높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가격이 높은 것은

    바로 보통주에 부여되는 주주의결권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우선주의 발행수량이 얼마인지, 보통주의 발행수량이 얼마인지에 따라 그 가격이 영향을 받습니다. 두산의 경우 본주보다 우선주의 가격이 더 높은 것은 우선주의 발행량이 적은 것이 그 근거이며, 삼성전자의 경우 우선주의 발행수량이 많아서 그런것도 있씁니다. 따라서 이러한 발행량에 따라 주가가 변동이 될 수 있으니, 이 부분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판에서 본주랑 우선주 가격 차이는 늘 애매하게 얘기가 나옵니다. 삼성전자만 봐도 본주가 우선주보다 20퍼센트 정도 비싸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사실 우선주는 배당은 조금 더 챙겨주지만 의결권이 없다는 게 단점이죠. 그래서 제 생각에는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기업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본주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또 유동성도 본주 쪽이 훨씬 크다 보니 사고파는 데 편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