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물고기는 진화 과정에서 언제부터 부레를 가지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물고기는 진화 과정에서 언제부터 부레를 가지게 되었나요? 부레가 없는 물고기는 진화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물고기의 부레(air bladder) 또는 부유 방광(swim bladder)은 물 속에서의 부력 조절을 돕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이 부레는 원시적인 어류에서부터 진화하였으며, 대략 4억 년 전 실루리아기(Silurian period)에서 데본기(Devonian period)로 넘어가는 시기에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기의 어류는 부레가 없는 형태였으며, 이후 생태적 및 생물학적 필요에 의해 부레를 발달시키게 되었습니다.
    부레의 주요 기능은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절하여 물고기가 에너지를 덜 소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기관은 주로 뼈대어류(osteichthyes)에 나타나며, 특히 연골어류(chondrichthyer) 같은 다른 일부 어류에서는 부레가 없습니다. 부레가 없는 어류들, 예를 들어 상어와 가오리는 다른 방식으로 부력을 조절합니다. 이들은 간에서 기름을 많이 생성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몸을 유지하거나, 물을 지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수영하는 방법으로 부력을 조절합니다.
    진화적으로 부레가 없는 어류들은 더 원시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들은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분기되었으며, 그 결과로 다양한 생물학적 특성과 생태적 전략을 개발하였습니다.

  • 물고기의 부레는 초기 어류의 폐에서 진화했으며, 약 4억 년 전 데본기 무렵 등장한 원시 경골어류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부레는 부력을 조절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수중 생활에 유리한 구조로 발전했습니다. 부레가 없는 물고기, 예를 들어 상어와 같은 연골어류는 폐나 부레 없이 간과 지느러미 구조를 통해 부력을 조절하며, 이는 부레를 가지기 이전 단계의 원시적 특징으로 간주됩니다. 부레는 진화 과정에서 특정 환경에 적응한 경골어류에서 주로 나타난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폐가 진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폐를 공기 호흡에 쓰기보다는 물 속에서 이동하는데 주로 쓰이는 부력기관으로 변화 시킨겁니다. 감사합니다. 조기어류는 대략 4억 1천 7백만년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