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검붉은할미새88
검붉은할미새88

혈전현상이 발생하는 요인이 무엇인가요?

코로나 백신접종후 혈전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2차 접종후에 자주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기저질환자에게 일어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내추럴한스라소니277
      내추럴한스라소니277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백신 접종 후 혈전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이는 백신에 의해 생성된 한 이상 항체가 부작용을 유발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전달체) 백신을 접종한 후 생성되는 특이 항체(VITT)가 혈소판의 특정 인자(PF4)와 결합하는 것이 최근 논문에 발표되었는데, 백신 접종으로 인해 만들어진 특이 항체가 인체의 혈소판 단백질 성분인 PF4에 독특한 방식으로 달라붙는데, 이 결합이 다시 면역 복합체를 형성해 끝없이 응고가 반복되는 악순환이 벌어지면서 혈전으로 발전하는 것을 가장 유력한 혈전 현상이 생기는 원인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차 접종 후 혈전 발생률이 증가하지는 않으며, 기저질환자와 연관성은 따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혈전증을 유발하는 AZ, 얀센 백신은 6만명 당 1명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백신의 스파이크 단백질 및 매개체가 체내 혈소판에 영향을 미쳐 혈전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어떤 사람에게 나타날 지는 예상이 어렵습니다.

      만 30세 미만의 경우 아데노바이러스 매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경우 혈전 부작용 위험성이 크기에 mRNA매개 백신인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혈전이 발생하는 원인은 정확하지 않으나,

      백신이 우리몸에서 새로운 항원으로 인지되면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과정에서 혈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저질환자가 아니더라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명확한 발생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자가면역반응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심한 또는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나탄 경우

      •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이를 예방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얀센 백신 (아스트라 제네카 백신과 유사) 관련 혈전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2주안에 대부분 발생

      - 전체적으로는 3.0케이스/1,000,000 접종,

      - 30-49세 여성으로 좁혀보면 8.8케이스/1,000,000 혈전증이 발생했습니다.

      현재 혈전증은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백신에 반응하는 특별한 원인물질을 가진 환자군에서 특정한 부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종적으로도 백인의 경우보다 아시아인에서 유병률이 매우 낮으며 현재는 미리 대처를 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사망으로 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혈전이 생기는 과정 자체가 혈소판의 과다 소모로 인한 보상기전으로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혈전증도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 상당수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백신 접종 후 흉통, 호흡곤란, 다리부종, 지속되는 복부통증, 심하게 지속되는 두통 혹은 흐려지는 시야등을 포함한 신경학적 이상, 접종부위 외에 나타나는 점상출혈 등의 증상이 생긴다면 혈전증의 가능성이 있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방식인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부작용이 드물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증증이란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희귀한 혈전증입니다. 이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와 연관된 자가면역질환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예방접종 4일~28일 후에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진통제로 조절되지 않는 두통, 구토, 시야흐림,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통증, 팔다리 부기,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형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조기 발견 후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한 질병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특별히 그 원인이 저명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며, 2차 접종 후 에 자주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기저질환자에게 일어나는 것도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우선 백신 접종 후 혈전이 발생하는 것은 아스트라제네카/얀센과 같은 백신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혈전 발생기전은 정확히 연구되어있지 않으나, 백신의 일부물질이 적혈구랑 응집해서 혈전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저질환자에게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인데, 또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혈전 부작용은 일종의 자가면역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백신때문에 자가항체가 만들어져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혈소판끼리 반응하게 되면서 혈소판수치 감소와 더불어 혈전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모든 기저질환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기저질환자 중에 자가면역질환을 앓고있는 분에서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백신으로 인해 나타나는 혈전 현상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입니다.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과 혈전증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질환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헤파린 유도 혈소판감소증과 유사기전 또는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에 포함된 유전물질이 특이 단백질을 생성하여 혈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이 현상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접종 후 4일에서 6주 사이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