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용어 중에 순편익은 무슨 뜻인가요?
천연가스자동차 보급에 대한 기사를 중에,
"경유연료 전세버스를 시범적으로 차령별 연료전환 사업추진이 바람직하며, 기존 CNG 충전인프라를 활용하여 가능한 38,713대의 전세버스를 천연가스차량으로 교체를 가정하면, 사회적 비용은 4,447억원이 소요되지만, 사회적 편익은 4,922억2천만원 발생하여, 사회적 순편익이 연간 222.1억원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된다."에서
순편익은 무슨 뜻인가요?
소득의 한도 내에서 최소의 지출로 가장 큰 만족을 얻는 것을 순편익이라고 합니다.
주어진 여건 하에서 기회비용을 최소화하고 만족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편익과 비용을 비교했을 때 순편익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며 비용이 같으면 편익이 가장 큰 선택을 해야 합리적이고, 편익이 같으면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선택을 해야 합리적이 됩니다. 이처럼 합리적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비용뿐만 아니라 편익도 고려해야 하고 이때 순편익도 고려의 요건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편익은 편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것을 말합니다. 다만, 단일 선택에서 순편익 = 편익 - 비용(명시적 비용) 이라면 다수 선택에서 순편익 = 편익 - 비용(기회비용) 이라는 차이점이 있을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편익라는 것은 편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것 개념을
의미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편익은 기업이나 개인이 특정 기간 동안 창출한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남는 순수한 이익을 의미합니다. 순편익은 회계상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순편익은 기업의 매출에서 직접적인 비용(원재료, 인건비 등) 및 간접적인 비용(광고, 운송비, 관리비 등)을 차감한 후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실제로 창출한 이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순편익은 기업의 재무 건강성과 경영 성과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순편익은 개인의 소득에서 소비, 세금, 저축 등을 고려한 후 남는 실질적인 이익을 나타냅니다. 순편익을 고려하여 개인의 재무 상태를 평가하고 금융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순편익은 기업 및 개인의 재무 건강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경제 활동의 결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편익은 포기한 차선의 대안으로부터 기대되는 순현금흐름 등을 얘기하는 개념입니다.
각 대안의 편익과 비용을 잘 계산하여, 편익에서 비용을 뺀 값, 즉 순편익에 근거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가령 A라는 일을 할지 말지 고민하는 경우라면, 그 일을 하지 않을 때는 편익과 비용이 모두 0이어서 순편익이 0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A에 따른 순편익이 0보다 크면 그 일을 하고 0보다 작으면 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구요. 만약 A와 B 중에서 골라야 하는 상황이라면 A와 B의 순편익을 비교하여 그 값이 큰쪽을 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른 선택지를 포기하고 선택된 대안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이익으로 최대의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 주체의 판단과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