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말레이시아 수출입 절차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지나요?
우리나라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와 교역을 할 때 절차가 다른 국가보다 복잡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선적부터 통관까지 단계별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내에서 말레이시아의 통관절차 등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수출입통관이 비교적 잘 규정되어있는 편이나 시스템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교역이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크게 복잡할 것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동남아시아 국가의 특성상 보다 복잡한 통관과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제품에는 수입 라이선스가 필요하거나 수출국에서의 서류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미리 협의하고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내에서도 규제가 세세한 편이라 수출입 절차가 다소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우선 선적 전 단계에서 수입자가 MITI 같은 관련 기관에서 사전승인이나 라이선스를 받아야 하는 품목이 많습니다. 식품이나 의약품은 위생허가가 필수라 늦게 준비하면 통관 지연이 흔합니다. 선적 서류는 기본적으로 상업송장과 포장명세서 외에 원산지증명서가 자주 요구되는데, 특히 FTA 세율을 적용하려면 발급 형식이 정확해야 합니다. 말레이시아 세관은 서류상 작은 불일치도 민감하게 보아 수입자에게 벌금이나 반송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