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루나 코인 사태가 어떠한 문제 때문인거죠?

단 5일도 안되는 시간만에 10만원이 넘던 코인이 0.4원으로 바뀐 이유가 뭔가요? 뉴스나 매스컴에 보도된 내용만으로는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 몇 가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스테이블 코인이 일단 코인과 차이가 뭐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알고리즘은 얼핏 보기에는 안정적으로 작동할 것 같지만, 테라와 루나의 가치가 동시에 떨어지는 경우 안정화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테라의 대량 투매가 일어나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테라를 사들여 이를 루나로 바꾸는 수요가 발생해야 합니다. 이럴 경우 루나가 대량으로 시장에 풀리기 때문에 루나의 가치는 떨어지지만 그 반등으로 테라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그런데 테라와 루나의 가치가 동시에 떨어질 경우, 시장에서는 루나를 적극적으로 매입하려 하지 않을 것이고 테라의 가치는 반등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테라와 연동된 루나의 가치가 예상보다 더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루나의 투매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는 연쇄적으로 테라를 보유한 다른 사람들의 심리적 저항선까지도 무너뜨려 다시 테라의 투매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알고리즘적으로 더 많은 물량의 루나가 다시 또 시장에 투입되기에 루나의 가치는 더 떨어지게 되고, 결국 루나의 가치는 0에 수렴하게 됩니다. 이를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이 변동되지 않는다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1달러로 맞춰진다해서 스테이블 코인이라고도 불리죠

      근데 최근 이 스테이블 코인이 가격이 하락해 그 하락을 막기위해 루나를 지속적으로 팔고 스테이블 가격을 올릴려고했지만

      그게 실패해 루나 사태가 일어난겁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폰지사기랑 같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일반 코인과 다르게 어떠한 자산을 담보로 잡고 코인을 발행합니다.

      테라는 누군가 갑자기 대량 매물로 매도가 나온 것이 시발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문제는 최근 테라의 급락에서 시작됐다. 테라 시세가 1달러 밑으로 떨어지면서 자매 코인인 루나가 급락하고 다시 두 코인의 가격 하락을 촉발하는 악순환인 '죽음의 소용돌이 현상'에 빠져든 것이다.

      테라는 테더나 USDC 등 다른 스테이블 코인과 구별되는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현금이나 국채 등 안전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것이 아니라 루나로 그 가치를 떠받치도록 한 것이다.

      테라 가격이 하락하면 투자자는 테라폼랩스에 테라를 예치하고 그 대신 1달러 가치 루나를 받는 차익 거래로 최대 20% 이익을 얻도록 했다.

      이렇게 하면 테라 가격 하락 시 유통량을 줄여 가격을 다시 올림으로써 그 가치를 1달러에 맞출 수 있다.

      하지만, 오로지 투자자들의 신뢰로만 유지되는 이 메커니즘은 최근 작동 불능 상태에 빠졌다.

      리서치업체 펀드스트랫은 "루나와 테라의 극적인 가격 하락은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신뢰가 완전히 증발해버릴 수 있는 데스 스파이럴(죽음의 소용돌이)"이라고 진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라와 루나 모델은 이 가상화폐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집단적 의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고 꼬집었고, 블룸버그 통신은 "가상화폐 몽상"이라고 비판했다.

      권 대표는 테라와 루나 폭락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테라를 담보로 15억 달러 구제금융 조달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번 사태는 가상화폐 시장의 최대 뇌관으로 자리 잡았다.

    • 우선 스테이블이라는 단어가 안정적인뜻으로 기존 가상화폐의 변동성 및 위험성을 최소화시킨 코인 즉 스테이블코인이라고해서 변동성을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 달러와 1대 1 비율로 가치가 고정되게끔 만들어진 코인입니다.어찌보면 단 하루만에 -99%가 되버린 역대 코인버블사태인데요. 메스컴에서 보도된 내용이 어찌보면 전부입니다. 그래도 믿기지 않았죠,,,그만큼 다른코인에 비해 안정성을 주장했고 대부분 투자자들이 이런 장점을 높이 평가하여 투자를 한것인데. 세계국제이슈 및 달러 금리인상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추세에 스테이블코인이 시스템이 점점 깨져버린사항에서 강력한 매도세와 스테이킹 물량까지 그리고 추가 발행코인과 겹쳐 낙폭이 단기간에 발생한 상황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