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4.16

현재 우리나라 무역수지도 계속적인 적자라고 합니다.

현재 경제상황에서 반도체등 영향으로 무역수지가 계속해서 적자라고 하는데 이런 무역수지 적자의 경우 우리나라에 경제에 어떤 영향으로 이어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가 계속하여 적자가 지속됨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액이 빠르게 줄어들고

    이에 따라서 대외적인 경제 충격에 충격이 더 크게

    느껴지는 등 한 것인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가 계속 유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원화가치는 하락해서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수입물가 상승으로 물가가 상승합니다. 매우 좋지 않은 현상입니다ㅠ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경우에는 달러 외환보유고의 유출이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수입하는 자재는 증가하는데 수출하는 수출품목의 출하량은 감소하게 되다 보니 점차적으로 외화가 감소하게 되어 이러한 외화 유출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외환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현재 무역수지 적자폭의 규모가 커졌다고는 하나 수입원자재의 매입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이며 수출의 경우는 고금리 시장기조로 인한 전체적인 수요 침체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수출의 경우 과거 IMF당시와 같이 산업 자체의 경쟁력 자체가 약해진 것은 아니다 보니 글로벌 수요가 회복된다면 무역 수지 적자폭은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아마 올해 하반기부터 무역수지가 개선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니라나의 무역수지 적자로 당장 우리나라의 경제가 힘들어 졌다고 말 할 수는 없지만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무역적자폭이 확대되는 상황 자체가 경제 성장을 막는 부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은 맞습니다. 무역 수지가 적자라는 것은 수출이 잘 안되고 있다는 것인데여. 그동안 우리 경제는 반도체가 수출을 이끌어왔는데 반도체가 힘들어졌고 또 다른 문제는 에너지입니다. 지금 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이 어마어마하게 늘었습니다. 그러면서 대 중국 수출은 -15%가 줄었고 반도체 -17% 줄었습니다. 반면에 에너지 수입은 무려 45%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여기에 원화 약세까지 겹치면서 이런 무역수지 적자의 행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가 부족하여 환율이 계속해서 오를 수 있고 적자가 지속되면 기업이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구조조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