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으로 태어난 출생력(저체중 출생아)가 아동뿐만아니라 성인기 천식의 위험을 높이는건 아니죠?
저체중으로 태어난 출생력(저체중 출생아)이
아동뿐만아니라 성인기 천식의 위험을 높이는건 아니죠?
천식 치료지침을 보아도 위험인자에 저체중출생아 라는건 보이지않아서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현재 저체중 출생아와 성인기 천식 발생의 직접적 관련성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저체중아는 미숙한 폐 발달, 면역 체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영유아기에 천식, 감염 등 호흡기 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성인기 천식으로 이어진다는 결정적 근거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저체중 출생과 성인 천식의 연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태아기와 출생 초기 환경이 폐 발달에 장기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천식은 유전, 환경, 면역 체계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저체중 출생 단일 요인의 영향력을 단정 짓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추가 연구를 통해 저체중아 출생과 성인 천식의 연관성을 더 명확히 밝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천식진료지침에는 발생에는 영향이 없고 천식인 경우 폐기능의 악화에는 영향을 끼친다고 나왔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 저체중아에서 천식을 발병률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대략
위험률이 20% 안팎입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아동기 뿐만 아니라 성인기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직접적으로 성인기 천식의 위험을 높인다는 명확한 결론은 다소 복잡합니다. 저체중 출생은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이 정상보다 짧거나 태아의 성장이 제한된 경우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은 태아의 폐와 같은 중요 기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이러한 아동들은 생후 초기에 호흡기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아동기 천식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에서 저체중 출생이 위험 요소로 지적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인기 천식의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으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