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기러기는 왜 다른 오리과 새들보다 얕은 물을 더 선호하나요?

대부분 오리과 새들은 물이 있는 장소에서 식물들을 먹으며 하루를 보내잖아요.

고니와 오리들은 깊은 물에서 헤엄을 치고 물 속에 머리를 넣은 채 물고기를 잡아먹거나 땅 위에 올라서 풀과 씨앗을 먹죠.

그런데 왜 기러기는 다른 오리과 새들괴 달리 땅 위에서 생활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기러기는 주로 곡식, 씨앗, 풀뿌리 등 식물성 먹이를 주식으로 삼습니다. 이러한 먹이들은 얕은 습지나 물가, 그리고 육상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러기는 깊은 물에 잠수하기보다는 얕은 물에서 걸으며 먹이를 찾거나 땅 위에서 풀을 뜯는 방식으로 생활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물고기나 수중 무척추동물 등을 주로 섭취하며 깊은 물에서 잠수하는 다른 오리과 새들과는 확연히 다른 식습관과 먹이 활동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오리들과는 다르게 서식지와 생활 습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먹이 습성과 생태적 특성 및 신체 구조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기러기는 주로 곡식, 씨앗, 뿌리 등 식물성 먹이를 먹고 습지나 얕은 물에서 걷거나 헤엄쳐 식물성 먹이를 찾습니다.

    반면 오리들은 동물성 먹이를 잡거나 깊은 물속에서 수생 식물까지 먹습니다.

    또한 기러기 둥지는 물가에서 떨어진 건조하고 안전한곳에 위치하며 주로 물빠진 습지, 둔덕, 초원 등에 생활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기러기는 다른 오리과 새들과 달리 육상 생활에 더 적응한 종입니다.

    긴 다리와 목을 이용해 넓은 초지에서 풀, 곡식, 뿌리 등을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깊은 물에서 헤엄치거나

    잠수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대신 하늘을 날아 먼 거리를 이동하며 계절에 따라 먹이를 찾아다닙니다.

    이런 생태적 특성 때문에 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