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동결 앞으로 얼마나 걸릴까요?
작년 코로나 사태 이후 엄청난 양의 달러를 풀고나서 금리인상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을텐데 이렇게나 갑작스레 계속해서 금리인상을 해도 되는 것인지 금리동결은 언제쯤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급격한 경기 둔화 또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율 재상승이 없다면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상승폭이 큰다면 내년 하반기 금리 동결이 아니라 오히려 금리가 더 상승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고
전쟁에 대한 부분도 해소되지 않아서
한동안은 물가잡기 위해 금리인상은 계속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금리를 동결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미국의 금리동결이 우선되어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내년 상반기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2월과 3월 두차례의 금리인상을 끝으로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경우는 앞으로 많으면 3번정도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점금리 수준은 4%정도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예상할 수는 없습니다만
내년 하반기 정도에는 금리가 동결의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2월 FOMC 점도표를 보시면 가장 많은 연준의원들이 앞으로 0.75% 추가 금리 상승이 필요하다고 표명하였습니다. 통상 0.25%를 인상하므로 3번의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전망 합니다.
내년도 FOMC 일정은 1월, 3월, 5월 입니다. 5월 이후에는 금리 동결을 전망 합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등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서 이러한 전망은 얼마든지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초 미국 연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하며 금리인상에 소극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아직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정점은지난 것으로 보이는 바 금리인상속도는 늦추어 질 것이 예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