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27

봄에 꽃샘추위가 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해마다 봄이 되면 따뜻해지다가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는 꽃샘추위가 1번씩 오는데요 이렇게 꽃샘추위가 오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8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추위는 주로 시베리아 고기압에 의해 발생됩니다

    봄철이되면 시베리아 기단이 약해지게되는데

    주기적으로 강해지고 약해지는 일이 발생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기단의 세력이 강해질때

    꽃샘추위가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성목 과학전문가입니다.

    봄에 꽃샘추위가 오는 이유는 기상적 원인과 생태학적 원인이 있습니다.

    기상적 원인으로는, 봄철에는 아직 겨울의 추위가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봄철의 기온은 서쪽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기압계가 지나가면서 추운 공기를 끌어들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때는 서쪽해안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기압계가 지나가면서 추운 공기를 끌어들이기 때문에 꽃샘추위가 올 수 있습니다.

    생태학적 원인으로는, 꽃은 추운 기온에도 잘 자라기 때문에 꽃샘추위가 올 수 있습니다.

    또한 꽃은 추운 기온에서 자라는 것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추운 기온이 일어나면 꽃이 피는 것을 촉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꽃샘추위의 원인은 우선 갑작스런 시베리아 고기압의 확장에 있습니다.
    꽃샘추위는 대개 2월 말~ 3월 중순까지 나타나는데 대개 시베리아
    차가운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시기(갑자기 추워지는 시기)는
    12월 초순, 하순, 1월은 대부분 영향을 받습니다.
    2월은 때에 따라 초순과 중순에 갑작스레 추워지는 것이 있는데
    이를 여한(餘寒)이라고 합니다. 여한은 입춘(2월 4일)이후 나타나는
    강추위, 혹한을 말합니다. 그리고 2월 하순은 대체적으로 남서쪽의
    따뜻한 고기압이 접근하기 시작하는데 그래서 남부지방에는 개화가
    시작됩니다. 이는 봄이 되면 시베리가 고기압의 후퇴, 그리고
    시베리아 기단이 갈라져서 나오는 이동성 고기압과 중국 대륙에서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이 나흘 간격으로 통과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꽃샘추위는 기후변화가 원인입니다.

    시베리아 대륙의 기온이 평년보다 크게 올라 상층에 고기압이 생성됐고, 우리나라 인근에 저기압이 형성되면서 북서쪽 찬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돼 평년보다 추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