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4

은행을 나눠둔 이유는 무었일까요?

시중 은행중에는 1금융권 2금융 3금융 이렇게 나눠져있는데 이렇게 해놓은 이유는 무었이고 각각에 장단점을 찾는다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2.10.24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 - 은행법의 적용을 받고 우리가 아는 흔히 시중의 메이저 은행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규모가 크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금융권 -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우리가 흔히 아는 새마을금고, 수협 등이 포함됩니다.

    상대적으로 1금융권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대출 등을 받을 때 1금융권에 비하여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대신 이자율이 높습니다.

    3금융권 - 흔히들 말하는 대부업체라고 보시면 되며 대부업법의 적용을 받고 제도권 밖의 금융권이나 불법적인 것은 아니며 대출이 정말 편리하지만 이율이 엄청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권별로 정식으로 나눈 명칭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통상 그렇게 구분하여 부르는데 1금융권은 시중에 은행이고 2금융권은 저축은행등 그리고 3금융권은 사채업이나 대부업체등을 칭하는데 금융권의 재무건전성등 재무상태를 보고 보통 구분을하는데 1금융권보다는 2금융권이 대출시 개인신용에 대한 부분을 1금융권보다는 적게 보기에 저신용자에게 유리한 반면 그에따른 리스크등으로 대출금리는 더 높은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홍보센터

    효성FMS 뉴스룸

    효성에프엠에스 소식

    [금융 라이프] 제1금융권? 제2금융권? 금융권은 어떻게 나눠지고 무엇이 다를까?

    소식 2019-05-13

    최근 다양한 종류의 금융회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금융회사들은 돈을 빌리는 수신과 돈을 빌려주는 여신의 기능에 따라, 또는 은행법의 적용 여부에 따라 크게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제3금융권(사금융)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특히, 이렇게 분류된 금융회사들은 그 규모와 역할이 조금씩 다르므로 각각의 차이를 이해하고 자신의 자금 목적에 알맞은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금융권별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융권은 어떻게 분류할까?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예금은행을 가리켜 제1금융권이라고 부릅니다.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등 어디서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일반은행을 비롯해 특수은행, 지방은행 등 시중 은행들을 말하는데요. 전국 곳곳에 지점망을 갖추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등장해 주목을 받고 있는 인터넷 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역시 제1금융권으로 분류됩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을 제외한 증권사, 보험사를 비롯해 신탁회사인 자산운용사, 신용카드사 및 캐피털, 리스사 등의 여신금융사까지, 은행이라고 부르지는 않지만 은행 업무를 담당하는 금융회사를 말합니다. 즉, 전문적인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금융회사들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인데요.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도 포함됩니다.

    제3금융권은 제도권 밖의 대부 업체를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이 아니면서 대부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들을 의미하는 비공식적인 명칭입니다. 제3금융권이라는 말은 공식적인 용어가 아니지만, 대부업체들을 제1, 제2금융권과 비교되는 개념으로 표현할 때 비공식적으로 종종 사용되는데요. 제1금융권이나 제2금융권처럼 대출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서 신용도가 낮아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금융권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있습니다.

    제1금융권은 은행법을 지키는 금융권을 의미하며,여기에는 특수은행, 지방은행, 시중은행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그 다음으로 제2금융권은 은행법에 적용받지 않는 기관이지만 유사 여신기관으로 캐피탈, 저축은행, 카드사가 여기에 속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제3금융권은 1,2금융권에서 벗어난 흔히 말하는 러시XX등과 같은 대부업 허가를받고 대부업만 하는 업체를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금융권을 분류해놓은 이유는 너무 많은 기관들이 금융업에 뛰어드는 것을 막고 과다 경쟁을 막기 위함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1금융권의 진입이 굉장히 힘들었으나 토스나 케이뱅크 카카오뱅크의 경우는 인터넷 전문은행이라는 핀테크를 등에 업고 1금융권의 허가를 득하고 사업을 하였지만 그 허가 과정이 쉽지는 않았었습니다.

    금융업의 특성상 해외 진출이 쉽지 않기에 국내를 중심으로 영업을 하고 이익활동을 창출해야하나, 국내의 경제 규모는 한계가 있어 금융기관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 금융기관들이 향후 다른 국제은행들과 경쟁하기에는 규모면에서 경쟁이 되지 않기에 최대한 1금융권의 숫자를 늘이지 않고 규모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외국 은행이 들어왔을 때 방어를 할때도 규모가 되어야지 방어가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