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사려깊은레아210
사려깊은레아210

일본영화를 보면서 일본 일반인들이

밥먹을때마다 두손을 합장하면서 인사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보편적으로 하는건가요 그런행위의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서 식사전에 합장하는것은 예의에 맞는 행동으로 이는 에도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습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합장은 존경, 경의, 기도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고 깊은 정신적 의미를 내포합니다.

    동양 철학과 신앙에서 합장이 개인의 내면과 외면, 혹은 자신과 타인,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상징적인 행위로 볼수있습니다.

    합장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정신적인 깊이를 표현, 인간 관계에서 깊은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불교에서는 기도나 존경의 표시, 유교는 상대방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선 식전에 頂きます (いただきます) 이따다키마스라고 인사를 합니다. 보통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쓰이는 잘먹겠습니다로 번역되고는 하는데요. 사실 의미가 조금 다릅니다. 잘먹겠습니다는 아무래도 식사를 준비해준 분에 대한 감사가 강한 반면 일보의 이러한 인사는 " 잘 받겠습니다" 라고 하는 식재료에 대한 공양의 의미가 추가적으로 들어 간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도 일부 노년층에서는 이러한 식사 예절이 남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