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추운날에입김불면 하얀색김이나는이유가 궁금해요

평소에 궁금한건데 추운날에 입김을 불면 하얀색김이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는 전문가님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홀쭉한가재292
      홀쭉한가재292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을 불 때 보이는 하얀 김의 정체는 날숨과 함께 나오는 수증기가 응경한 물방울입니다. 우리가 내쉬는 날숨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 순간적으로 응결하여 만들어진 것이 김입니다. 김은 주변의 습도가 낮아 바로 증발되어 사라집니다. 기온이 높으면 입김이 보이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에서 나오는 공기가 바깥쪾의 낮은 온도가 만나면서 액화하여 보이는것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짧은 순간 액화되어 눈에 보이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호흡을 하며 내뱉는 날숨에는 이산화탄소 및 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때 따뜻한 인체에서 차가운 밖으로 나오며 큰 온도차이로 물은 급격하게 냉각되며 물 또는 얼음입자가 되며 김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날에 입김을 불면 하얀색 김이 나는 이유는 우리의 입에서는 공기와 함께 수증기가 배출됩니다. 평소에는 공기와 수증기가 섞여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추운 날에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하얀색 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따뜻한 숨결: 입에서 나오는 숨결은 몸의 온도에 비해 따뜻합니다. 숨결은 물을 포함한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추위로 인한 수증기 응결: 따뜻한 숨결이 추운 공기와 만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주변 온도에 의해 빠르게 식어서 응결합니다. 이 응결된 수증기가 미세한 물방울로 형성되어 보이게 됩니다.

      3. 미세 입자의 존재: 공기 중에는 미세한 입자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 입자들이 수증기가 응결되는 핵이 되어 김질이 더욱 뚜렷하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