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

음악에서 도돌이표는 왜 생기게 되었나요?

음악에서는 악보에 도돌이표가 많이 있더라고요.

이 도돌이표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궁금하고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몇마디의 음악을 두번을

    반복하라는 도돌이표는

    닫는 도돌이로 전체를 반복하거나

    여는 도돌이를 같이 써서

    그 구간만 반복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돌이표라는 말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해방 후 교육에 쓰이던 일본어, 어려운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용어위원회를 만들어 노력했는데 음악 분야 용어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성공을 거뒀다. 도돌이표를 비롯해 지금도 쓰고 있는 꾸밈음, 높은음자리표, 낮은음자리표, 잇단음표, 이음줄, 으뜸음 등과 같은 낱말들이 이 무렵 만들어졌다.


    도돌이표는 반복기호(反復記號)를 바꾼 말로 현재는 되돌이표란 단어도 드물게 쓰이지만 해방 이후 당시 음악 용어위원회는 '반복'을 대신할 말로 '도돌이'를 선택했다. 도돌이표 기호가 본래 나타내는 '다시 돈다'라는 뜻을 충실하게 적용했다면 '되돌이'도 선택되었을 것이지만 '도돌이'가 선택된 이유는 뭘까? 도돌이표에 대해 김성태 교수는 '중등악전'(1949년)에서 '국악에서 쓰는 갈말(전문용어)'로 썼고, 음악 용어위원회에 참여한 작곡가 금수현은 "이 말은 '도로 돌아'라는 말에서 온 것"(표준음악사전, 1960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국악에서 쓰는 말에서 왔다면 '다시 돌아서 들어간다'라는 뜻인 '도드리'와 비슷해 연결점이 보이지만 확정하기는 어렵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돌이표는 악보에 필요한것 중에 하나 입니다.

    악보는 그리다 보면

    같은 악보를 계속 그릴 수 없다 보니

    어떤 것을 표시를 해서 다시 한번 연주나 노래를 할 수 있게끔 표시한 게 도돌이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돌이표는 해방 후 교육에 쓰이던 일본어,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용어위원회를 만들었으며 음약 분야 용어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성공을 했습니다.

    도돌이표를 비롯해 꾸밈음, 높은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 등 같은 낱말들이 이때 만들어졌습니다.

    도돌이표에 대해 중등악전에서 국악에서 쓰는 갈말로 썼으며, 도로 돌아 라는 멀에서 온것이라 하며 국악에서 쓰는 말에서 왔다면 다시 돌아서 돌아간다 라는 뜻인 도드리와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