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2.07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와 노을이 붉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늘을 보게 되면 낮에는 하늘이 파랗다가 저녁때쯤 되면 노을이 생기면 노을은 붉은색이 되잖아요 이렇게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와 노을이 붉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중에서 파란색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저녁에는 노을이 붉은빛이 더 많이 통과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레일리 산란 때문입니다. 레일리 산란은 빛이 입자와 부딪히면서 산란되는 현상입니다.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입자와 부딪히는 각도가 작을수록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납니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태양빛의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이 가장 많이 산란됩니다. 가시광선은 파장이 짧은 순서대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랑색, 보라색입니다. 따라서 가시광선 중에서도 파장이 가장 짧은 파란색이 가장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노을이 붉은색인 이유도 레일리 산란과 관련이 있습니다.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면,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집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산란되어 사방으로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붉은색만이 지평선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을은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 빛이 대기를 통과할때 단파장인 파란색이 산란되어 퍼지기 때문에 파란것입니다.

    그렇다면 노을은 태양빛이 지면서 더 많은 대기를 통과하게 되게

    파란색등은 더 많이 살란되어 없어지고 산란되지 않은 빛을 보기 때문에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색깔이 낮과 저녁에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낮에는 태양에서 나오는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란색 빛이 가장 많이 산란되어 우리 눈에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저녁에는 태양이 지면서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고 그만큼 많은 파란색 빛이 산란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 눈에는 빨간색 빛이 더 많이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되는 현상을 '레이리 산란'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대기 중에는 먼지나 수증기 등의 입자들이 있어서 빛이 산란되는 정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낮과 저녁에도 하늘의 색깔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늘의 색깔이 변하는 이유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햇빛이 지구 대기층에 닿아 산란하는데

    이 때 파란색 파장이 가장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노을이 붉은색인 이유는 저녁무렵에는 태양의 조사각이 낮아지면서

    길어진 대기층을 뚫기에 유리한 적색계열이 많이 보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