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심심한페리카나243
심심한페리카나243

크라운 보철을 하지 말고 바로 임플란트로 할까요?

크라운 보철 치료 후 시간이 지나면서 뿌리쪽에 염증이 생기는 현상이 자연스러운건가요? 그래서 어떤 의사분이 신경치료를 권하지 않는다해서요

자기가 관찰하기론 대부분 나중에 크라운 씌운 뿌리가 녹는다 하던데 그러면 그냥 발치하고 임플란트 하는게 낫다 생각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크라운을 할때, 신경치료를 먼저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신경치료를 했을떄, 그리고 하지않았을 때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뿌리쪽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신경치료를 새로 하거나, 다시해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크라운을 하여 살려쓸수있는데 미리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것은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크라운 치료 후 해당 치아의 뿌리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해당 치아가 이미 신경치료된 치아라면, 시간이 지나고 재감염이 발생하여 뿌리 끝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신경치료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라면, 어떤 원인으로 해당 치아에 문제가 발생하여(크라운 안쪽으로 충치, 치아 크랙, 외상 등) 신경에 감염이나 괴사가 발생하여 뿌리 끝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3. 해당 치아의 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아 잇몸염증이 치주염으로 진행되고, 계속 방치되는 경우입니다.

      여러 원인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증상들이 크라운치료를 한 모든 치아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비율로 따져도 높지 않습니다.

      임플란트치료 역시 영구적인 치료가 아니며, 구강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극단적으로는 임플란트도 흔들려서 뽑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뽑지 않아도 되는 치아를 뽑고 임플란트를 하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 치료 방법이며(치료라도 부를 수도 없습니다), 누구의 의견인지는 모르겠지만 "자기가 관찰하기론 대부분 나중에 크라운 씌운 뿌리가 녹는다 하던데"라는 말은 의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주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모든 크라운 보철 치료를 한다고 해서 뿌리쪽 염증이 생기지 않습니다.

      신경치료를 동반한 크라운 치료를 하고 난 이후 뿌리쪽 염증이 지속되는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 당시에 모든 신경을 치료하지 못했거나 남아 있는 세균이 있을 수 있고 또한 과도한 교합력에 의해 치아에 외상이 가해져도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염증을 차단하기 위해 신경치료를 하는 것이나 신경치료를 할 수 있는 부위 및 한계는 명확하여 간혹 잔뿌리에 남아 있는 세균까지 청소하지 못한다면 염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의사분이 말씀하시는 것은 학계에서 받아들이는 의견이 아니며 보통은 신경치료를 동반하여 크라운을 하게 되면 염증 뿌리는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플란트를 하지 않고 자연치를 살릴 수 있다면 임플란트보다는 크라운치료를 먼저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소실된 자연치는 다시 식립하거나 재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쓸 수 있을때까지 쓰는 것이 맞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