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과감한자라13
과감한자라13

미국의 AI발 증시 급등에 거품이 끼어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데 사실일까요

미국에서 AI발 증시 급등에 거품이 끼어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미국 기술주가 하락하고 우리나라 증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러한 의혹은 사실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AI 관련주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하면서 고평가되었다는 우려, 즉 거품론이 사실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일부 AI 기업들의 주가수익비율(PER) 이 닷컴 버블 시기와 유사할 정도로 과도하게 높다는 지적과, 실제 수익성이 폭발적인 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근거합니다. 일부 투자 거물들과 금융 기관장들 역시 증시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AI 관련주가 급락하며 불안감을 키우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픈AI 임원이 인프라 투자 설비와 AI 칩 구매 비용 등과 관련해 정부의 보증 방안을 거론한 게 거품론을 불러 일으켰는데요. 비용이 수익을 압도하고, 순환 거래에 의존하는 생태계 구조가 지속되는 한 거품론은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AI 기술이 대단한것은 맞지만 실제 기술 구현이나 산업 확대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 급등은 버블이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마냥 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증시의 붕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AI 고점 경고, 버블 경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버블을 알아보기 힘든 것은 사실

    버블은 지나고 꺼져야 알기 때문에

    이는 시간이 흘러야지 정확하게 판단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는 거품이라고 하기엔 실적이 뒷받침 되었기에 그렇지 않습니다만

    문제는 AI증시가 점차 거품을 확산하고 있다는 것은 맞습니다.

    이게 지금 큰 빅테크기업들이 어떻게 보면 대출파생상품을 만들어 매출을 올리는 것인데요.

    작은 회사에게 투자금을 유치받고 대신 나의 상품을 사서 개발해 이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개발하였지만 실제로 판매량이 부진하여 파산하는 기업들이 보이지 않게 많다는 것이죠.

    이러면 대기업들만 돈을 버는 데 이렇게 하는데도 이제는 해줄 중소기업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이 이상의 기대값을 내기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엔비디아가 한국을 택한 이유 자체가 여기에 있는데요. 말은 번지르하지만 결국 중국과 먼저 협상에 무산되고 자꾸 거부하면서 본인들에게 여러 걸쳐있던 기업들이 안 좋은 성과를 내니 공급할 기업들이 줄어들어 지금까지 올려놓은 기업주가를 계속 가지고 가려면 새로운 판로가 필요한데 결국 그 다음 새로운 판로가 한국인 것입니다.

    그러니 퍼포먼스까지 보여주면서까지 하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는 경제상황과 더불어 여기까지의 AI에서 더 이상 발전 대비

    제품,상품들의 수요가 없고 그만큼 쓸만한 메리트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 이대로 증시가 계속 오른 다면

    결국 거품이 낄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사실로 볼수 있습니다. 미국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매우 크게 올랐지만 실제 AI가 얼마나 기업의 매출을 늘려줄지 등은 아직 미지수입니다. 실제 발생 매출이 아닌 기대감으로 인한 상승이기 때문에 거품으로 볼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