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보랏빛박쥐258
보랏빛박쥐258

수면마취하는 과정에 횡설수설 할까요??

수면마취하면은 깊은잠에 빠지게 되는데 이때 자기도 모르게 이상한 말들이 나옵니다

왜그런지 궁금하네요 ~~~

그리고 수면마취할때 잠의 상태와 과음하고나서의 만취상태일때와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정확하게 거의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음주로 인해 자극을 받는 부분이

      신경계에서 GABA, Glutamic acid 에 작용을 하여 졸림과 의식의 혼미 등을 유발하게

      되는데 수면제로 사용하는 Midazolam 등의 진정제 역시 GABA 등 신경계 물질을 자극

      하여 음주와 같은 효과를 보여주며 횡설수설하였던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수면마취시 진정작용을 위해 투약하는 약물은 의식은 깨어 있을 정도로 일반적으로 투약하게 되며 약물에 따라 시술시 기억을 하지못하는 경우가 생기거나 헛소리를 하게 되지만 이는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수면내시경을 할 때 진행하는 수면 마취는 그 명칭 때문에 '완전히 잠든 상태로 마취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환자가 완전히 의식을 잃을 정도로 마취제를 투약하면 스스로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는 '호흡부전'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취제는 환자가 숨을 쉴 수 있을 만큼은 의식이 유지될 정도로 투약합니다. 수면제가 아니므로 실제 뇌파를 살펴보면 잠들었을 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의학 용어로는 수면 마취를 '의식하 진정요법'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이렇게 약하게 마취된 상태에서는 환자에 따라 간단한 질문에는 대답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의식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에 간혹 헛소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횡설수설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시경이나 간단한 수술등을 위해서 수면마취를 하는 경우

      환자가 횡설수설 하는 사례가 간혹 있을 수 있습니다.

    • 수면 마취를 할 때에는 진정제가 투여 된 뒤에 깨어나는 상황에서는 약물이 서서히 작용이 사라지기 때문에 의식이 명료해지기 까지 회복에 시간이 다소 필요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의식이 흐린 상태로 횡설수설하게 되면서 무의식적으로 이상한 말들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네 횡설수설하시는분들 많습니다.

      근데 그 내용이 아무도 신경안쓰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