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왔을때는 가장 먼저 금리를 대폭 낮추는게 맞나요?만약 그렇다면 그 이우 무엇인가요?
경기침체가 왔을때 가장 먼저 금리를 대폭 인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드린 사실조차 제가 바르게 알고있는것인지는 잘모르겠네요. 조심스레 여쭤봅니다. 혹 잘못알고있는 지식이라면 따끔하게 바로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한다는 말을 해당 국가의 화폐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면서 소비가 위축되고 이로 인해서 기업들의 실적악화와 함께 실업률 상승 및 취업률의 하락등 고용시장이 악화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 유동성을 높여서 소비를 진작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시중 유동성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금리'라는 수단을 동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금리를 낮추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경제의 흐름들이 발생하게 되면서 경제가 활성화되게 됩니다.
기준금리 인하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서 시중유통 화폐의 양 증가(개인대출증가 + 기업시설투자 증가)
개인들의 자금 증가로 인해서 소비증가
소비증가로 인해서 기업들의 판매 실적 증가와 신규채용 상승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오면 금리인하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제정책입니다. 금리인하는 가처분소득을 증가시키고 기업의 조달비용을 감소시켜 경제부양책으로 사용되는 정책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 시에는 먼저 금리를 인하합니다. 금리를 인하하는 경우 시장에 자본유동을 활성화시켜 투자나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고, 경기를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금리인하효과로 약하면 양적완화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와서 금리를 내린다기보다는 시장에 돈이 마르고 기업들이 투자를 줄여 경제성장이 더딘경우에 그렇습니다.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는 경우도 경기침체인데 이런 경우에는 금리를 낮추지 않아 꼭 경기침체라고 애기하기보다는 특정한 상황에서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오면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질문자님께서 알고 계시는대로 입니다
경기침체는 성장 둔화입니다
기업이 투자를 줄이면 일자리가 줄게 되고 개인의 소득이 감소합니다. 소득의 감소는 지출의 감소로 연결되고 시장에서 제품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또 다시 기업의 수익 악화로 이어져 생산 축소 및 투자 회피라는 악순환으로 연결됩니다.
매출이 감소하는데 어떤 기업이 신규 투자 및 생산 증가를 결정할까요
기업은 금융권 대출을 통해 신규 투자 및 생산 확장을 진행하는데, 금리가 높으면 기업 자금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금리가 인하되면 투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시장에 자본이 증가하게 되어 기업의 자금조달이 용이하게 됩니다
코로나19 초기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전 세계 국가와 개인이 코로나로 인해 경제활동 및 교류가 위축되어 소비가 급격하게 줄어들었습니다
미국을 선두로 모든 국가가 앞다투어 금리를 내려 투자와 소비를 독려하였고, 그 결과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금리 인하는 현재의 인플레이션이라는 숙제를 남겼습니다
돈을 푼 만큼 다시 회수해야하는 고통을 감수해야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낮추면 우선 대출에 대한 비용인 이자가 감소하기 때문에 대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이렇게 되면 시장에 돈이 돌기 시작하면서, 개인들의 소비,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경기가 다시 회복하게 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