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연금개시 과연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10년간 부었던 연금의 연금개시일이 다가오는데요... 제 나이는 57세고 은퇴는 65세인 직장에 몸담고 있어요.

알아보니 최근 법으로 볼 때는 연금개시일이 되면 연금 받기 시작하는 게 유리하다 (세금 등의 측면에서) 라고 하는데요...

월 40만원 정도 지급받는 이 연금을 다시 5년 납입, 5년 거치하는 다른 연금보험에 넣으면 10년 뒤 13만원 정도씩 받을 수 있으니 10년 뒤에는 40만원 + 13만원 붙어서 53만원 가량 지급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생각해보니 10년 뒤 13만원은 거의 의미 없는 액수일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지금부터 그냥 40만원씩을 받아서 쓰는 게 차라리 낫지 않나... (참고로 원래의 연금은 종신형이라 지금부터 계속 40만원을 받는 것이지요.) 싶더라고요.

제 질문의 핵심은 10년 뒤 13만원이라는 가치를 위해 향후 5년 간 매월 40만원씩을 쓰지 않고 두 번째 연금보험에 납입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원태 보험전문가
    이원태 보험전문가
    DB손해보험

    연금은ㅈ개시때부터 수령하는것이 좋습니다 더 두었다가 수령하면 얼마 더 받을 수 있다고 해도 차라리 수령하는 연금을 적금으로 준비하는것이 갑자기 쓸일이 생겨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퇴직기간이 남아 있으니 그게 더 좋을 수 있습니다

  • 아직은 소득이 있어 연금을 수령하지 않고 거치하는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거치할수록 연금을 더 많이 타게되며 추가로 납부하지 않아도 연금을 증액할 수 효과가 있어 좋을 듯 합니다.

    가능하다면 현재 연금보험에 추가납입 할 수 있는지 문의해서 추가납하는것이 최고입니다.

  • 현재가입되어있는 얀금의 최저보증이율을 고려해 보아야 겠으나

    해지 후 최저보증이율 5% 연금에

    일시납 해서 5년 이니 10년 거치 후 연금개시하는 것이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연금이 필요한 시기가

    언제인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연금개시가 필요한 시점이 늦어질 수록

    해지후 일시납이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