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고등학교 생활

학업및진로에대하여!!!
학업및진로에대하여!!!

우리나라 교육시스템 반대하고싶어요

제가 중학교때는 공부를 조금 하는편이었거든요, 그런데 고등학교로 올라오니 제 실력을 알게되더라고요.....

저희나라는 왜 모든사람을 등급으로 나눌까요?

예를들면 영어독해 읽으면 상식이 늘긴하겠지만,외국인과 소통불가,문법강요 이런것때문에 저는 영어를 시험보기보다 회화시스템이 중요학

다고 봅니다.

국어 국어도 문법보다는 실생활국어가 오히려 낮다고 생각해요,저희 국민의 90%사교육에 의존하고 매년 발전없이 돌아가는데 제발 교육시스템좀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가족은 문제가 없겠지만, 혹시나 가정형편이 좋지않은 가족들에게는 큰 단점이잖아요

저랑 동의하시는분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디스맨-Q847
    디스맨-Q847

    질문자님 같은 생각 가지신 분들도 많은데 저는 조금 질문자님과는 생각이 다릅니다. 왜냐하면 그런 것들이 실생활에 쓸모는 없다고 하지만 나중에 대학교에 진학해서 학문을 발전시킬 때는 쓸모가 있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까 영어도 실생활 영어 즉 프랙티컬 잉글리시가 있고 학술 영어 즉 아카데미 잉글리시가 있고 이게 분야가 다른 겁니다

  • 아무래도 우리 나라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을 등급으로 나누는 평가방식과 영어 문법 중심 교육이 실제 회화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거든요. 사교육 의존도도 높구요. 저도 동의합니다

  •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은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그 과정에서 잘하는 사람 못하는 사람을 선발하게 되고, 잘하는 사람이 되기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학교에서 그치는것이 아니라 학원에 의존하는 교육시스템은 분명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 학생을 판단하는 기준을 세울 수 없게 됩니다.

    고등학교까지 일정 틀 안에 두고, 이 틀안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재들을 대학교에서는 선발하는것이 가장 표본적인 방법이 될 수 있기때문입니다.

    정말 두각을 나타내는 학생들은 한가지 분야에서 천재성을 보이게 되지만, 이것이 이 학생이 삶을 사는데 있어서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느냐는 다른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교는 전혀 다른 문제의 과정을 공부하게 됩니다.

    고등학교때까지는 대학교가 학생을 뽑아가기 위해 학생들의 서열을 보는데, 이것의 가장 기본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것이 학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영수만 잘하는것이 무슨 표본이 될 수 있겠냐 하는데, 대학교에서는 국영수만 잘하는 친구들을 뽑아가지 않습니다.

    고등학교에서 학생회, 동아리활동, 생활기록부 전반적인 부분들을 취합해서 자신들의 학교에 맞는 인재인지 찾는겁니다.

    고등학교에서 공부만 한다고 생각하시면 절대안됩니다. 공부만 잘 한다고 해서 좋은 대학교를 갈 수 있는것도 아닙니다.

    대학교에서 심화된 과정을 배우기 위해 고등학교에서의 모든 활동, 수업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