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냉철한말
냉철한말

6.25전쟁 발발당시 한강다리 폭발이 실제 북의 남하속도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나요?

최근 북한의 도발 수위가 올라가면서 6.25전쟁을 안 떠올릴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인데요. 6.25발발 당시 북의 남하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한강다리를 폭파했다고 알고 있는데요. 남겨논 다리도 있었다고 합니다. 어째튼 다리 폭파로 큰 효과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처럼 1950 년 한강인도교와 철교 폭파가 북한의 남하속도 지연은 있었다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폭파가 전략적으로 이견이없다는 점과 소련고문단도 개전후 한강교 조기확보를 하지 못한것은 실책이라 단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승만의 피난후 한강교를 폭파하고 서울시민을은 이승만이 서울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서울 이북의 아군들과 미군사 고문단도 한강이북에 고립되었던점 수많은 서울시민이 고립되어 고초를 겪었던 점등이 많은 문제거리로 갑론을박 거리가 되었습니다.


      전쟁이란 어떤한 작전도 희생없이 치루기란 불가능 한 일입니다.

      역사는 판단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우리는 한국전쟁 같은 전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25시 한강다리 폭파로 인한 인민군의 남하를 막는 결과를 가져 오지는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서울 곳곳에 북한의 탱크가 들어와 바로 서울이 탈환 되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남한의 군대가 고립되었고 피난을 가지못한 백성들은 서울이 북한에 의해 탈환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쟁 초기 국군이 서울을 빼앗기고 후퇴한 결정적 이유는 바로 전차때문 이였습니다. 한강교를 폭파하지 않고는 적 전차의 도하를 저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죠. 또 북한군의 추격도 따돌릴 수가 없었다. 북한군의 전차는 6월 28일 00:30-01:00에 서울시내에 진입했구요. 이에 군에서는 한강 인도교를 비롯하여 철교들을 파과했구요. 그때 시간이 6월 28일 02:30분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군은 국군퇴로를 차단할 한강교 점령에 실패했고, 이는 결국 국군이 한강이남에서 방어선을 형성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게 되었다고 합니다. 국군은 한강선을 방어하기 위해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하여 김홍일장군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한강방어임무를 수행했구요.

      한강교가 국군에 의해 폭파되자 서울시내로 진입한 북한군 전차는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군은 서울시내에서 귀중한 3일간을 허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돠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소련군의 군사보고서에도 인정했습니다. 결론은 한강 더리 폭파가 남쪽 강변에 방어선을 조직하여 북한군의 진공 속도를 늦추게 된것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