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11.28

박쥐들은 초음파를 이용해 어떻게 앞을 보나요?

안녕하세요

박쥐들은 눈이 퇴화되서 거의 구실을 못하지만, 초음파를 통해

앞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정확히 초음파로 어떻게 앞을 볼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퇴화된 눈으로 인해 시력이 좋지 않지만, 초음파를 통해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사냥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초음파 탐지 또는 초음파 위치 측정이라고 합니다. 박쥐는 입이나 코에서 초음파를 발사하고, 되돌아오는 메아리를 통해 주변 환경을 파악합니다. 이때, 메아리의 진폭, 주파수, 도착 시간 등을 분석하여 물체의 크기, 거리, 방향 등을 파악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이 초음파가 앞에 있는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여 물체가 있는지,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등을 판단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8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탐지하고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합니다. 이를 '초음파 위치 결정'이라고 부르며, 고주파의 초음파를 내보내고 해당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쳐 반사된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박쥐의 특수한 생리학적 기능으로, 이러한 초음파 정보를 해석하여 주변 환경을 상당히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박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먹이를 찾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우리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모방하여 만든 것이 초음파 센서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음파를 외부로 보내면 초음피가 부딪히고 돌아오는 것을 파악해서 구조와 외형 지형지물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들은 눈이 퇴화되어서 초음파를 통해 앞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박쥐들이 주로 밤에 활동하고 어두운 곳에서 사냥을 하기 때문입니다. 초음파는 고주파 소리로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소리입니다. 박쥐들은 이러한 초음파를 내보내고 그 소리가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어 다시 박쥐의 귀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렇게 들어온 초음파를 박쥐는 뇌에서 해석하여 자신의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박쥐들은 초음파를 이용해 앞을 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초음파를 내보내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박쥐는 자신의 주변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알 수 있습니다. 초음파의 반사되는 강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박쥐는 자신의 주변에 있는 물체가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박쥐들은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해 자신의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박쥐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사냥을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능력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해 자신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것은 박쥐들의 생존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박쥐들은 초음파를 이용해 앞을 보는 능력을 발전시켜왔고 이는 박쥐들의 특별한 능력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예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음파가 물체에 닿으면 되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해서 반사되는 신호로 물체가 있음을 인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들이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은 우리가 메아리를 듣는 것과 비슷합니다 매우 속도가 빠른 초음파를 내뿜고 이거에서 돌아오는 소리를 들어서 가까운데 있는 곳에 부딪힌 초음파는 주파수가 높게 들리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게 들리면 주파수가 낮게 들리는 쪽으로 이동을 해서 밤에도 보지 않고 부딪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