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재화의 분류범위에서 범위가 좁을수록 왜 탄력성이 크다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에서 대체제의 수가 많으면 탄력성이 큰걸로 알고 있는데요
재화의 분류범위에서 범위가 좁을수록 왜 탄력성이 크다고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격의 탄력성이란 쉽게 말해서 가격의 변동성에 따라서 수요가 어떻게 반등하는 지에 따른 강도(민감도) 입니다.

    예들 들어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수요가 급격하게 줄어 들게 된다면 가격 탄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재화의 범위 넓을 경우와 좁을 경우를 한번 생각 해 보겠습니다.

    재화의 범위가 넓으면 소비자는 대체제를 쉽게 찾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음료수라고 재화의 범위를 넓게 잡게 되면 음료 가격이 올라도 사람들은 음료수라는 대체재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음료수의 수요는 쉽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만약에 재화를 특정 브랜드 (예를 들어 코카콜라)라고 할 경우, 이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물, 환타, 다른 수많은 브랜드의 음료수들과 같은 대체제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에 재화의 범위가 좁을 수록 소비자들은 손 쉽게 대체재를 찾을 수 있기에 "가격 탄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범위가 좁을수록 대체재를 찾기 쉽기 때문입니다.

    좁게 정의된 재화에 대한 수요는 광범위하게 정의된 재화의 수요에 비해 탄력적이게 됩니다.

     예를들어, 식료품이라는 포괄적인 재화에 대해서는 대체재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수요가 비탄력적인 반면에 피자라는 보다 좁게 정의된 재화에 대해서는 대체재가 많으므로 탄력성이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분류 범위가 좁을수록 가격 탄력성이 큰 이유는 경제적 원리에 기인합니다. 좁은 범위의 재화는 특정 브랜드나 제품군처럼 대체재가 많아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들이 다른 대체재로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의 커피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다른 브랜드의 커피로 쉽게 대체할 수 있어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반면, 넓은 범위의 재화는 대체재가 상대적으로 적고, 예를 들어 커피 전체의 가격이 상승해도 소비자들이 차나 주스 같은 다른 음료로 대체하기는 어려워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좁은 범위의 재화는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반면, 넓은 범위의 재화는 소비자 선택의 폭이 좁아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합니다. 특히, 좁게 분류된 재화는 사치재인 경우가 많아 가격 상승 시 대체재로 쉽게 이동할 수 있지만, 넓게 분류된 재화는 필수재일 가능성이 높아 가격 상승에도 수요가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의 스마트폰은 가격이 오르면 다른 브랜드로 쉽게 대체할 수 있어 가격 탄력성이 높습니다. 반면, 스마트폰 전체는 대체재가 적고, 가격 상승에도 수요가 크게 변하지 않아 가격 탄력성이 낮습니다. 결론적으로, 재화의 분류 범위가 좁을수록 대체재의 가용성이 높고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가격 탄력성이 커집니다. 반면, 넓게 분류된 재화는 대체재가 적고 필수재일 가능성이 높아 가격 탄력성이 낮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적이다. 예를 들어 '식료품' 이라고 하면 필수적인거라 비탄력적이기 쉬운데, '아이스크림' 이라고 하면 음료수, 빙수 이런걸로 대체 가능해지니 탄력적인 이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성이 크다고 하는 이유는 해당 재화에 대한 대체품이 적기 때문입니다. 즉, 소비자가 해당 재화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선택지가 제한적일 때,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이는 수요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요량이 크게 변동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소비자들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탄력성이 크다고 이야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탄력성이란 수요 변화에 대해 가격이 반응하는 정도이다 보니, 범위가 좁다면 대체재 자체도 좁고, 구하고자 하는 경로 또한 적어집니다.

    이 경우 작은 수요변화에도 큰 가격변화가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A시장에는 TV, 에어컨, 세탁기,청소기 상품이 팔리고, B시장에서는TV, 에어컨, 세탁기, 스타일러, 식게세척기, 청소기, 건조기,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상품이 팔린다면 A라는 시장에서 하나의 상품이 차지하는 범위는 25%로 나타나고, B라는 시장에서는 10%로 나타납니다. 이것은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의 수가 증가할수록 단일 상품의 비중이 낮아지게 되기에 시장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좁아지게 되는 것이죠. 그에 따라 약간의 가격 변화에도 소비자들이 다른 상품으로 이탈을 쉽게 할 수 있기에 탄력성이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재화의 분류 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적이다 라는 것은 대체제의 유무에 따른 탄력성 차이에서 비롯합니다

    • 예를들어 전자제품이라는 범위를 대체할 것을 찾는 것은 어렵습니다 전자제품 대신 비전자제품으로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 반면에 전자제품 안에 있는 디지털 시계는 아날로그 시계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이렇듯이 범주를 오히려

      좁히면 대체제를 찾기가 쉽지만 전자제품이라는 넓은 범위를 모두 대체할 것을 찾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적인 재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성이 큰 이유는 소비자들이 특정 재화의 대체제가 적거나 특정 재화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특정 과일을 고려하면, 사과의 대체제는 배, 포도 등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일"이라는 범위로 보면 대체제가 훨씬 더 많아지므로, 사과의 탄력성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좁은 범위에서의 재화는 대체제가 적어 소비자들이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탄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성이 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범위가 좁을수록 해당 재화의 대체제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과일"이라는 범위보다 "사과"라는 구체적인 범위가 더 좁습니다. "사과"의 경우에는 대체제로 "오렌지", "바나나" 등이 쉽게 떠오르기 때문에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요가 탄력적입니다.

    반면, "과일"이라는 범위는 대체재의 범위가 넓어 상대적으로 덜 민감합니다.

    따라서 재화의 분류범위가 좁을수록 대체제가 많아지고, 그 결과 탄력성이 커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의 분류 범위가 좁을수록, 즉 특정 제품일수록,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제품이 많기 때문에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의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배나 오렌지로 쉽게 바꿀 수 있어서 사과의 수요는 크게 줄어듭니다.

    반면, 과일 전체의 가격이 오르면 대체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아서 수요 변화가 적습니다. 그래서 범위가 좁을수록 탄력성이 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