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풍성한두더지79
풍성한두더지7922.07.04

아기가 고열 후 밤마다 저체온이 지속되요

나이
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위장약,지사제
기저질환
없음

현재 12개월 남아입니다.

38.3도로 체온이 올라 병원 방문 후 감기 소견(기침이나 콧물 증세는 없었으나 목이 빨갛다는 소견)으로 항생제,콧물,기침,해열약을 처방 받아 이틀 투약했습니다 투약 후 열이 떨어졌으나 밤에 38.9도까지 올라 해열제 교차복용 후37,4도로 하루정도 유지 되었습니다 그후 다시 열이 오르고 무른 변을 4회정도 보는 등 장염증세가 보여 다시 병원 방문 후 장염 진단을 받고 (장에서 들리는 소리,가스참 등소견)위장약과 지사제 해열제 등을 처방받았고 복용하던 중 체온 체크를 잘못하고 37.1도인데 해열제를 먹였어요 그 후 밤에 체온을 재보니 35.3도로 체온이 뚝 떨어졌어요ㅠ 낮에는 36.4~36.7도 등으로 체크가 되는대 밤에 잘때만 되면 저체온 증상을 보인지 이틀째입니다 따뜻하게 해주면 36.1도까지 올라가 다시 재우면 새벽에 다시 35.6도 정도로 또 떨어져 있어 걱정입니다ㅠ 단순 해열제 과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인지 다른 문제가 있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만일 해열제 복용으로 저체온이 왔다면 당황하지 말고 우선 약을 중단하시면 됩니다.

    이후 따뜻한 담요 등을 덮어 보온을 유지하고 따뜻한 분유를 먹이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상체온에서 해열제를 복용하였다고 해서 저체온이 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오히려 감염증으로 인해 체온이 저하될 수도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아이의 발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이뤄지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발열이 3일 이상 지속된다면 최대한 그 원인을 찾아 적절한 항생제 등 치료가 필요하므로 발열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혈액 및 소변, 영상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서 발열의 원인을 찾고 필요시 입원치료를 진행하시길 권고드립니다. 해열제를 먹고 열이 떨어지면 일시적으로 체온이 많이 저하될 수 있는데 관련하여서는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따뜻하게 해주시는 것으로 충분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체온을 정확히 측정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해열제의 원리 자체가 높아진 체온조절중추를 정상화시키는 기능이기 때문에 저체온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해열제를 아무리 많이 먹는다고 해도 36.5도 이하로 떨어트리지 않습니다.

    혹시나 열을 떨어트리기 위해서 얼음팩이나 물수건을 너무 과하게 적용하시는건 아닌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해열제 복용을 통한 체온조절중추 조절 없이 얼음팩이나 물수건만 사용해서 열을 떨어트릴 경우 오한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