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기막히게겸손한비숑
기막히게겸손한비숑

연금형태를 DC형으로 바꿔보려고 하는데요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해야할까요?

이번에 연금을 DC형으로 바꿀려고 합니다.

DC형은 ETF 위주로 살 수 있다고 하는데요.

포트폴리오 구성을 해보려고 하는데,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요?

어떤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연령과 투자 성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20~30대는 주식형 ETF를 70% 정도로 공격적으로 잡고, 40대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50대 이상은 안정적인 채권형 위주로 구성하시면 좋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DC형 퇴직연금으로 전환하시게 되면 투자성과에 따라 연금액이 결정되므로 투자성향과 역량이 중요합니다. 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적극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DC형이 유리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DC형에서는 회사의 퇴직연금 전환정책을 잘 이해하셔야 되고요. 인사부서나 노무사와 상담하여 회사의 정책을 충분히 이해하고 전환 후 예상되는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부담이나 법적 제약사항을 사전히 충분히 검토해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DC형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에서는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으며 정기예금, 펀드, 리츠, ETF 등 투자자의 성향과 목표에 맞춰 폭넓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크게는 원리금보장상품과 실적배당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는 정기 예금, ELB 주가연계파생결함사채, 증권사 RP(환매조건부채권), 채권(국채), 실적배당상품은 펀드(국내공모펀드), 국내 거래소 상장(ETF), 리츠(REITS), ETN(상장지수증권), 인프라펀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중에서 ELB는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의 가격변동에 연동되어 수익률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으로 채권의 형태를 띠며 원금이 보장되구요.

    증권사 RP는 증권사가 보유한 채권을 일정 기간 후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투자자에게 매도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리고 실적배당상품에서 리츠는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지분에 투자하고 그로부터 발행하는 임대수익이나 자산 매각 차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방식의 부동산 간접 투자상품입니다. 그리고 ETN은 상장지수증권으로 특정지수나 상품, 통화, 전략 등의 성과를 추종하는 금융상품으로 ETF와 비슷하지만, 증권사가 발행한 채권의 형태를 띠며 기초 자산을 보유하지 않는 점이 ETF와 차이점입니다. 인프라펀드는 국내외의 시설, 즉 도로, 공항, 터널, 항만, 통신망 등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연령대별로 20~30대는 공격적인 성장 중심 포트폴리오로 주식형 상품에 60~70% 비중을 두고 구성하고 40대는 균형 중심 포트폴리오로 주식형상품은 40 ~50% 비중 50대는 보수적 성장 중심 포트폴리오로 주식형 상품은 30 ~40% 60대 이상은 안정 중심 포트폴리오로 주식형 상품은 20 ~30% 채권형 상품을 40 ~50% 비중을 두고 구성하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질문으로 유추해보건데 ETF에 관심을 가지시는 걸 보면 203040 정도의 연령층일 것이라고 생각해봅니다.

    우선 회사 내에 퇴직연금 담당자가 있을겁니다. 경리부서나 해당 담당 부서를 통해서 퇴직연금 담당자를 알아내보고 우선 담당자에게 "ETF 라인업을 받아보고 싶다. 직접 운용하는 형태로 비율을 정하고 싶다" 라고 말씀하세요.

    그 다음 펀드 라인업을 보고나서, 은퇴까지의 기간이 충분하실테니 모두가 다 아는 QQQ같은 나스닥 펀드 비중을 꼭 넣고, 베트남 인도 등 신흥시장의 비율도 고려해서 장기투자로 수익률을 극대화 하는 전략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TDF라고 생애주기별 맞춤 ETF가 있습니다. 연령이 은퇴에 가까워질수록 안전자산인 채권형 펀드의 비율을 자동으로 높여주는 ETF인데. 이 개념처럼 초창기에는 공격적인 장기투자로 시작하시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채권 비율을 높여가는 식으로 운용하시면 됩니다.

    자산 운용과 관련하여서는 전문 상담채널을 이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