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견한저빌98
대견한저빌9824.01.23

왜 우리는 가시광선 까지만 볼 수 있나요

가시강선 즉 눈에 보이는 것들만 우리 눈이 지각을 하잖아요 그러면 왜 우리는 그외의 것들은 보지 못할까요? 이러한 것들은 아예 색이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는 가시광선(400~700nm) 범위의 전자기파만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눈에 있는 시각감지 세포인 원추세포와 봉막세포가 가시광선 범위의 전자기파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시강선이란 우리 눈이 지각하는 빛의 파장 범위를 말합니다. 이 파장 범위는 약 400nm에서 700nm까지이며 이 범위 내에서만 우리 눈이 빛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파장은 우리 눈이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색이 없는 것이 아니라 우리 눈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눈의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더 넓은 파장을 인식할 수 있는 눈을 가진 동물들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눈은 빛 스펙트럼 중에서 아주 일부분의 색만 볼 수 있습니다. 색깔이 보이는 빛의 영역을 가시광선이라고 불리는데 가시광선은 파장이기긴 파장을 이야기하며 빛의 파장과 에너지 때문에 눈에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가시광선만 볼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의 눈이 진화 과정에서 특정 파장의 빛에만 반응하도록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가시광선은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대략 380nm에서 740nm 사이의 파장을 가진 빛입니다. 이 범위 바깥의 파장, 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적외선은 인간의 눈에는 감지되지 않습니다.

    인간의 눈은 세 종류의 색각 세포, 즉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빨강, 초록, 파랑 빛에 반응합니다. 이 세 가지 색의 조합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색을 인식합니다. 그러나 가시광선 바깥의 파장에 대해서는 원추세포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그러한 빛을 "보지" 못합니다.

    이와 달리, 일부 동물들은 다른 파장의 빛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새들은 자외선을 볼 수 있으며, 뱀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그들의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발달했습니다.

    "색"이라는 것은 실제로 물리적 현상이 아니라 뇌가 빛의 파장을 해석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가시광선 바깥의 파장은 "색이 없다"기보다는 우리가 그 색을 인식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즉, 그러한 파장은 색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의 시각 시스템으로는 그 색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