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조선에서 삼정승위에 만동묘지기라는 말이 있었는데 그 정도로 권세가 있었나요?

조선에서는 명의 만력제에 대한 제사를 지냈고 조선에는 삼정승위에 만동묘지기라는 말까지도 있었는데 당시 만력제의 사당을 관리하는 사람은 그렇게 권세가 컸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동묘의 관리를 맡던 만동묘지기의 위상은 매우 높았으며, "원님 위에 감사, 감사 위에 참판, 참판 위에 판서, 판서 위에 삼상(삼정승), 삼상 위에 승지, 승지 위에 임금, 임금 위에 만동묘지기" 라는 노래가 불릴 정도였다고 합니다. 또한, 젊은 시절 흥선군이 이곳을 참배하려다 만동묘지기(혹은 지역 유생)에게 얻어맞는 등 고초를 당했다는 야사가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조 2년 나라에서 만동묘에 제전과 노비를 내려주었고 그 후 예조에서 90명이 돌아가며 묘우를 지키게 하는 등 여러 지원을 했고 정조는 직접 사필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은 이후 서원 폐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님 위에 감사 감사 위에 참판 참판 위에 판서 판서 위에 삼상(삼정승) 삼상 위에 승지 승지 위에 임금 임금 위에 만동묘지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만동묘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화양계곡 내에 위치한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 신종(만력제)과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의종(숭정제)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입니다. 만동묘는 사적 제417호 만동묘정비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만동묘의 이름의 유래는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조종암에 새긴 선조의 어필 만절필동 선조가 쓴 만절필동을 모본하여 화양리 바위에 새겼는데 그 첫글자와 마지막 글자에서 취해 만동묘라고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담으로 군대 계급을 비유 할 때 준장 위에 소장, 소장 위에 중장, 중장 위에 대장, 그리고 대장 위에 병장이 있다는 말을 하곤 합니다. 그냥 웃자고 하는 말들이지만 옛날 조선말에 위와 비슷한 내용의 승경가(昇卿歌, 벼슬의 순서를 읊은 노래)가 충청도 땅에서 유행했었다고 합니다. 삼상 위에 승지, 승지 위에 임금, 임금 위에 만동묘(萬東廟)지기 라고 농담으로 했을 정도로 묘를 지키는 경비원의 위세도 제법 당당 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