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

주식 투자정보에서 추정 PER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Naver 주식 투자정보에 PER/EPS가 있고 아래에 추정 PER/EPS가 있는데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실적을 기준으로 계산하냐, 향후 미래에 벌어들일 것으로 예측되는 추정실적을 기준으로 계산하냐는 차이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추정 PER라고 하는 것은 현재주식가격 / 추정EPS로 산출하여서 나타내는 값이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주식가격에서 증권사들의추정평균값인 EPS를 나누어 계산하여 주가수익비율은 확인하는 것으로 기업의 예상실적을 토대로 해당 기업의 주가수익비율을 유추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입니다. 주당 순이익 대비 주가가 몇 배로 거래 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로 국내외 동종 업계 경쟁사 대비 비교를 하여 고저평가 여부를 판단하곤 합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입니다. 상장사의 경우 주당 순이익을 공시하게 되어 있습니다. 주식 자본 단위별 얼마나 이익을 남기느냐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배당 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예상 PER 또는 EPS는 기중 연간 손익을 고려한 예상치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회사의 주식의 가치가 현재 버는 돈에 비해 제대로 되어있는가를 보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가를 EPS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인데 순이익보다 주가가 높으면 PER가 높게 되고 PER가 높을 수록

      이 회사가 순이익대비 주가가 높은 편이구나 , 미래가치가 그 정도 없다고 판단되면 조정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고

      반대면 주가가 낮으니 회사의 성장이 커지면 주가가 상승여력이 있겠구나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추정 PER은 현재가÷추정EPS입니다.

      추정EPS를 알아야하며 예상 EPS에 대한 증권사들의

      추정값을 통하여 추정 PER을 계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추정 PER= 현재 주가/ 추정 EPS 입니다.

      추정 EPS는 예상 EPS에 대한 증권사 추정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추정 EPS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경우에만 제공하는 것이므로 3개 미만인 경우에는 추정 EPS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정보에서 추정 PER은 주식의 현재 시가에 대한 기업의 주당 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은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 수익비율이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식 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는 Price-to-Earnings Ratio의 줄임말로, 주가 대비 기업의 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는 주식 가격을 기업의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쉽게 간단히 말하자면, PER은 특정 주식이 현재 가격에 비해 기업이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PER이 10라면, 투자자들은 그 주식을 구매하면 해당 기업의 이익을 10년이라는 기간 동안 회수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낮은 PER은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높은 PER은 주식이 비교적 비싸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은 복잡하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PER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순히 PER만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은 좋은 투자방법이 아니라고 볼 수 있죠.

      추가적으로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일론머스크의 테슬라같은 경우도 per가 20년도에는 1400이라는 말도안되는 수치를 보여주었구 22년말기준 약 64로 많이 다운되었지만 64년은 길지요. 이처럼 수치하나로 회사가치를 판단하긴 제한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Price-to-Earnings Ratio)는 주식 시장에서 종종 사용되는 주가 평가 지표 중 하나입니다. 주가를 기반으로 한 기업의 가치 평가 방법 중 하나로, 주가를 주당 순이익(Earnings)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냅니다. 주가가 어느 정도의 이익을 나타내는 기업의 가치로 간주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사용됩니다.

      추정 PER은 기업의 미래적인 순이익을 기반으로 계산된 PER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재무 보고서나 예측을 통해 미래의 순이익을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주가와의 비율을 계산합니다. 추정 PER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며, 주가가 현재의 이익이 아닌 미래의 이익을 반영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ER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저렴한지 비싼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비슷한 업종 내의 기업들 간의 비교에도 자주 활용됩니다. 높은 PER은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낮은 PER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거나 성장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PER, EPS는 '확정치'이고( 확정 주가수익비율, 확정 주당순이익 ), 추정 PER, EPS는 미래 그정도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추정치'로 ( 추정 주가수익비율, 추정 주당순이익 ) 각각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