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가로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가리라 그런지 은행나무 가로수길이 정말 많이 예쁜데 갑자기 궁금한 점이 있는데 이런 가로수길은 언제부터 생겼나요 가로수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로수는 어떤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가로수의 역사는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로수는 기원전 10세기경에 히마라야 산록에 조성된 <그 랜드 도란그>도로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인도의 캘커타에서 아프가니스탄의 국 경에 걸쳐있는 도로로써, 일부는 돌로 포장되었으며 중앙과 좌우에 3열의 가로수가 연속적으로 식재되었으며, 알렉산더대왕이 대군을 통솔하고 이 도로를 진군해 갔다고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의 산림 제도에 관하여 조선 이전은 문헌상 고증할 길이 없고, 조선시대에 와서 가로수가 처음 등장합니다. 조선왕조 실록에 단종 1년(1453년) 의정부 대신들의 건의에 따라 "주나라의 제도를 보면 길가에 나무를 줄로 심는다는 기록이 있고, 지난 날 이를 본받아 서울 근방의 도로변에 나무를 많이 심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나무를 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라버리는 일도 있고 해서 내년 봄부터는 서울 교외 도로의 양편에 땅의 성질을 감안해서 소나무 ·배나무 ·밤나무·회 나무 · 버드나무 등 알맞은 것을 심도록 하고 그 보호를 철저히 하라”는 명이 내려졌습니다. 정조 3년(1779년)에는 예조로 하여금 능원 주변의 소나무 등의 수목의 벌채를 금한 내용이 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묘소 주위나 길가의 노거수가 가로수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문서를 통해 나타나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적인 가로수는 고종32년(1895년) 내무아문에서 각 도의 도 로 좌우에 수목을 식재하도록 시달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로수는 기원전 10세기에 하말라야 산록에 조성된 ‘그랜드 도란그’도로로 전해지느데 이것은 인도의 켈커타에서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에 걸쳐있는 도로로써, 일부는 돌로 포장되었으며 중앙과 좌우에 3열의 가로수가 연속적으로 식재 되어 있었고, 알렉산더 대왕이 대군을 통솔하고 이 도로를 진군해 갔다고 전해 집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서는 도로 양측에 버짐 나무의 가로수가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