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DUWKWHWEKGUS
DUWKWHWEKGUS

귀가 안들리는베토밴은 어떻게 작곡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배토밴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귀가 안들렸다고 하는데요

도대체 작곡가가 직업인 사람이 귀가 안들리는데 어떻게 작곡활동을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토벤은 자신이 처한 어려움 앞에서 주저앉지 않고 자기 것에 더 집중하며 당당하게 맞섰다고 합니다. 그것이 베토벤이 청력을 잃고도 유명한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명석한 두뇌와 절대음감으로 인정받았던 작곡가가 이유를 알 수 없이 청력을 잃은 것입니다. 티니투스(Tinnitus)라고도 알려진 이 질병은 26살이던 1796년부터 베토벤을 괴롭혔습니다. 처 음에는 메니에르 병처럼 귀가 잘 들리지 않거나 이명 현상이 발생하는 듯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대화나 음 악 감상도 어려워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의 생애를 연구하는 이들은 그가 청력을 잃고 난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자신의 음악 을 시작하게 됐다고 평가합니다. 유서를 쓴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새로운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 나 가기 시작했습니다. 운명에 맞설 수 있는 예술가로, 격동의 시대에 당당하게 자신의 주장을 밝히는 사람으로 바뀌었습니다. 오늘날 그를 상징하는 소나타 '열정', 피아노 협주곡 '황제', 교향곡 5번 '운명' 등의 작품이 이때부터 쏟아져나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각장애를 얻게 된 베토벤은 진동을 이용해 작곡을 했습니다.

      피아노 덮개를 덮고, 피아노에 얼굴을 붙여 몸을 최대한 밀착해 연주를 시작하며 각각의 음마다 다른 미세한 진동이 차이를 느끼면서 작곡을 했습니다.

      즉 음의 공명인 음이 진동하며 울리는 현상으로 각 음은 저마다의 파동을 갖는데 그것을 촉각으로 느끼면서 작곡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