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압 논리를 현실에서 적용한 사례에 뭐가 있을까요?
삼투압 원리를 보고 참 신기함을 느꼈습니다. 손가락이 쭈글추글 해지는것도 하나의 사례인데요.
이것 말고도 삼투압 원리를 이용한 실 사례가 더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손가락을 물에 오래담구었을 때 쭈글쭈글해지는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최근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삼투압현상이 아닌 온도변화에따른 신경계와 혈관의 작용을 통해 손가락 내부에서 구조변형을 야기하는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가장 간단한 삼투압 원리의 활용은 김장을 할 때 소금물에 야채를 절이는 행위입니다.
야채 안에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함인데, 소금물의 높은 영분을 중화하기 위해 야채 내의 수분이 빠져나오는 원리이므로, 삼투압 원리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배추김치를 만들 때, 부피를 줄이고 김치 소를 넣기 위해 일정한 시간 동안 소금물에 담가두곤 하는데요. 이 때 배추 안의 농도보다 배추 바깥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수분이 빠져나가 배추의 숨이 죽고 시들시들해지는 거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담수화(바닷물을 삼투압을 통해 먹는 물로 여과하는 것)
나무 뿌리(삼투압을 이용하여 물을 흡수함)
김장(배추에 소금을 뿌려 수분이 빠지게끔 함)
짠음식을 먹고 난 후 갈증을 느낌(짠 음식에 의해 몸에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 갈증을 불러 일으킴)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더욱 많은 현상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혹시나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손가락이 쭈글해지는 것은 삼투압때문이 아닙니다.
삼투압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는 바닷물의 정화가 있습니다.
삼투압의 차이를 이용해 먹을 수 있는 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