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삼투압 논리를 현실에서 적용한 사례에 뭐가 있을까요?

삼투압 원리를 보고 참 신기함을 느꼈습니다. 손가락이 쭈글추글 해지는것도 하나의 사례인데요.

이것 말고도 삼투압 원리를 이용한 실 사례가 더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손가락을 물에 오래담구었을 때 쭈글쭈글해지는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최근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삼투압현상이 아닌 온도변화에따른 신경계와 혈관의 작용을 통해 손가락 내부에서 구조변형을 야기하는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가장 간단한 삼투압 원리의 활용은 김장을 할 때 소금물에 야채를 절이는 행위입니다.

      야채 안에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함인데, 소금물의 높은 영분을 중화하기 위해 야채 내의 수분이 빠져나오는 원리이므로, 삼투압 원리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배추김치를 만들 때, 부피를 줄이고 김치 소를 넣기 위해 일정한 시간 동안 소금물에 담가두곤 하는데요. 이 때 배추 안의 농도보다 배추 바깥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수분이 빠져나가 배추의 숨이 죽고 시들시들해지는 거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담수화(바닷물을 삼투압을 통해 먹는 물로 여과하는 것)

      나무 뿌리(삼투압을 이용하여 물을 흡수함)

      김장(배추에 소금을 뿌려 수분이 빠지게끔 함)

      짠음식을 먹고 난 후 갈증을 느낌(짠 음식에 의해 몸에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 갈증을 불러 일으킴)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더욱 많은 현상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혹시나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손가락이 쭈글해지는 것은 삼투압때문이 아닙니다.

      삼투압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는 바닷물의 정화가 있습니다.

      삼투압의 차이를 이용해 먹을 수 있는 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